•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소문화협회의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 해방기 북조선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에 대한 문제제기적 검토 (A Study on the Publication, Translation and visting the Soviet Union of Joseon-Soviet Cultural Association : A Critical Examination of North Korea's Cultural and Political State Planning during the Li)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9.06
36P 미리보기
조소문화협회의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 연구 ― 해방기 북조선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에 대한 문제제기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66호 / 471 ~ 506페이지
    · 저자명 : 임유경

    초록

    이 글은 기왕의 연구가 충분치 못한 분야를 기존의 자료와 새 자료의 동시적 검토를 통해 재조명해 보려는 시도이자 소련방문 후 집필되고 출간된 기행문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위한 예비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소련 측 관계기관의 지원 아래 조소문화협회가 주관한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방기 북조선의 형성과정에서 기획되거나 진행된 문학적․문화적 사업들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적시하고 이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논의의 지반을 구축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은 조소문화협회가 주축이 되어 진행한 출판․번역 사업의 주된 내용, 관계기관, 원본의 출처, 번역방식, 파생효과 등과 제1차 방소사절단의 파견배경과 목적, 인적구성, 방문일정, 기행문 출간 상황 등을 검토해 보는 데 일차적 목적을 두고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와 같은 전반적인 사항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들 사업이 갖는 당대적 의미와 상징성을 추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담론 연구의 활성화를 통해 비-허구 산문에 대한 폭넓은 관심이 촉발되고 있는 최근의 경향에 관계되어 있으면서, 한편으로는 문화정치사업이 단순히 부차적이거나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한 것이 아니라 민족/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였음을 논증하는 일련의 연구들과 맥을 같이한다. 이 글은 특히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국가건설과정을 연구하는 최근의 연구들이 제기하고 있는 주요한 문제의식, 이를테면 국가는 규범적이고 상징적인 표상들의 집합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생 국가가 근대적 민족국가성을 획득하기 위해 고안하거나 추진한 다양한 문화적 국가 기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 글은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이 ‘북조선’의 형성과 ‘朝蘇관계’의 구축 과정에 긴밀히 연동되어 있는 정치․문화적 모색일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국가 구성 및 통치의 원리가 형성되는 과정을 독립국가 수립 이후로 초점화하여 살피는 이들 논문의 연구 대상 시기가 해방기로까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요컨대 이 글은 해방 이후 추진되기 시작한 출판․번역 및 소련방문 사업이 소련식 문화제도와 예술양식을 通번역하여 북조선의 사회문화적 인프라를 구축하고 사회주의 사상을 국가건국사상의 지반으로 만들어나가는 과정이자, ‘북조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발전해 나가는 諸국면 가운데 역사적 좌표를 점하고 있던 잠정적 수준에서의 문화정치적 국가기획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ins from the critical awareness that the publication, translation and visiting the Soviet Union may have been a politico-cultural groping intimately connected to the founding of "Buk Joseon"(North Korea)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North Korea-Soviet Union relations." This paper is an attempt at addressing the need for studying the literary and cultural project carried out in the formative years of North Korea during liberation period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basic discussion prior to a full-scale study.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in contents, source of original works, translation method, and derived effect of the publication and translation work carried out by Joseon-Soviet Cultural Association("Joso-munhwa-hyeophoe") and the background and purpose, composition of personnel, itinerary, and travelogue publication of the first mission sent to the Soviet Union. Furthermore, based on a discussion about such matters in general, the paper seeks to infer the significance and symbolism such project had for that period.
    This attempt is related to the recent trend of explosion of broad interest in non-fictional prose writing brought on by revitalization of discourse research. This is also in line with a series of studies which demonstrate that politico-cultural project did not serve a secondary or supplementary role but was a necessary element essential to the process of nation-state formation. Going a step further, this paper seeks to demonstrate that the target period of study for these papers, which 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principles of state rule by focusing on the period after the founding of the state, should be expanded to the liberation period. In short,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publication, translation and visiting the Soviet Union that began after liberation was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ocio-cultural infrastructure of North Korea based on interpreting and translating the Soviet-style cultural system and art forms and of setting the socialist ideology as the basis of the state founding ideology and that such project was part of the provisional cultural and political state planning which occupied a historical position in at the center of developing "Buk Joseon" in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