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원도 북중부 산나물 민간지식의 전승과 재구성 -상품화와 그 영향을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and Reconstruction of Foraged Plant Knowledge in North-Central Gangwon -Commercialization and Its Impac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5.02
35P 미리보기
강원도 북중부 산나물 민간지식의 전승과 재구성 -상품화와 그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45권 / 341 ~ 375페이지
    · 저자명 : 이하얀

    초록

    이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소재 2개 자연마을의 산나물 관련 민간지식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승양상을 검토하고, 민간지식이 소비문화, 상품화의 영향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되는지 살펴본다. 조사지에서 산나물과 관련한 민간지식은 크게 산나물을 채취하는 지역주민들의 지식과 이들로부터 산나물을 구입해 판매하는 상인들의 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지식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습득되었는데, 전자의 경우 실제 채취현장에 동행하는 방식으로 전승되었다면, 후자는 서적 등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방식을 거쳤다. 민간지식 연구에서 전승을 통한 학습이 강조되면서, 역사성, 공동체성이 민간지식의 주요한 속성으로 규정되어 온 것이 사실이나, 조사지의 산나물 채취사례는 민간지식의 습득이 개별자의 상이한 체험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만큼 개별성이 발현되는 측면에 주목한다.
    계속해서 이 연구는 도시 소비문화와 상품화가 기존의 산나물 채취 및 가공과 관련한 민간지식에 미친 영향을 탐색한다. 조사지에서 산나물 지식의 구체적 내용은 산나물의 생장시기와 채취적기, 서식지와 관련한 생물학적 지식과 그에 적합한 채취방법 내지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0년대 중후반 조사지의 사회경제적 맥락에 일어난 변화는 산나물을 상품으로 재규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써 산나물 채취와 가공방식에 관한 기존의 지식이 외부의 소비수요에 맞추어 분화되었을 뿐 아니라, 지역민들이 산나물을 경제적 가치를 기준으로 우열을 평가해 위계적으로 재구성하는 등 민간지식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민간지식이 지역이나 마을의 경계를 넘어, 지역민들의 일상을 규정해 온 상품경제와 같은 거시적 구조와의 관계 속에서 새로운 범주를 만들어 내기도 하고, 기존의 지식들을 조정하기도 하면서 변화하는 양상을 조명한다. 이를 통해 지역민들이 민간지식을 실천하는 주체로서 기존 지식을 전승하고 재구성해 나가는 과정을 포착하고자 한다. 또한, 민간지식의 공동체성이나 토착성뿐만 아니라 개별성, 그리고 사회경제적 맥락에 따른 유동성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 and transmission patterns of tra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wild edible plants in natural villages in the northern central region of Gangwon Province, and explores how this knowledge is reconstructed within the influences of consumer culture and commodification. The tra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wild edible plants in the research area is largely composed of the knowledge of local residents who gather these plants and the knowledge of merchants who purchase and sell them. Each type of knowledge is acquired through different pathways; in the former case, it is transmitted by accompanying gatherers in the field, while in the latter, it is learned independently through books and other resources. While the emphasis on learning through transmission in traditional knowledge research has led to th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and communal aspects as key attributes of such knowledge, the case of wild edible plant gathering in the research area highlights the individuality that emerges from the diverse experiences of individuals in acquiring this knowledge.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urban consumer culture and commodification on existing traditional knowledge related to the gathering and processing of wild edible plants. The specific content of knowledge about wild edible plants in the research area includes biolog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growth periods and optimal gathering times, habitats, and the appropriate methods or techniques for gathering them.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context of the research area in the mid to late 1970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define wild edible plants as commodities. As a result, existing knowledge about gathering and processing these plants was not only differentiated to meet external consumer demands but also underwent changes as local residents began to evaluate and hierarchically reconstruct wild edible plants based on their economic value.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traditional knowledge transcends the boundaries of regions or villages, creating new categories in relation to macro structures such as the commodity economy that has defined the daily lives of local residents, while also adjusting existing knowledge. Through this, it aims to capture the process by which local residents, as practitioners of traditional knowledge, transmit and reconstruct existing knowledge.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discussion regarding not only the communal and indigenous aspects of traditional knowledge but also its individuality and fluidity in relation to socio-economic contex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