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아일랜드 협력 관계와 북아일랜드의 역사교육 - 유럽지역학 프로젝트(European Studies Project)의 구축, 1984-1986 - (Anglo-Irish Cooperation in Northern Ireland's History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he European Studies Project, 1984-1986)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07
38P 미리보기
영국-아일랜드 협력 관계와 북아일랜드의 역사교육 - 유럽지역학 프로젝트(European Studies Project)의 구축, 1984-1986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31호 / 363 ~ 400페이지
    · 저자명 : 원태준

    초록

    이 논문은 북아일랜드의 역사과 교육과정 개발에 잉글랜드, 아일랜드공화국 그리고 북아일랜드가 공동으로 참여했던 ‘유럽지역학 프로젝트’의 구축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1979년에 집권한 영국의 마가렛 대처 정부는 1968년에 시작된 ‘북아일랜드 혼란기’의 폭력 사태와 극도의 사회적 갈등을 아일랜드공화국 정부와의 협조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북아일랜드의 극도로 분열된 사회를 치유하기 위해 영국과 아일랜드공화국 정부는 북아일랜드 학교에서 시행되는 역사과 교육과정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잉글랜드와 아일랜드공화국 및 북아일랜드에서 각각 6개의 중등학교를 시범적으로 선택한 후, 이에 소속된 11세부터 15세까지의 학생들이 공동 현장 학습, 기숙 교환 및 정보통신 기술 활용을 통해 영국과 아일랜드 역사의 주요한 이슈와 사건들을 유럽이라는 틀 안에서 공부하고 서로 다른 지역의 학생들 및 교사들과 학습 내용을 교류하는 작업을 지원하는 유럽지역학 프로젝트를 출범시키기로 결정하였다. 프로젝트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총괄책임자 및 각 지역 당 한 명의 현직 교사 출신 현장담당자가 임명되었고,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운영을 평가하고 감독하기 위해 위원장과 총무를 비롯하여 각 지역 당 장학사 1명과 보조장학사 1명, 교육 과정 전문가 1명 등으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또한 참여 교사들이 학생들에게 더욱 양질의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영국사 및 아일랜드사 교육과 관련하여 2년마다 한 차례씩 각 프로젝트 참여국을 대표하는 교육감, 역사 교육 관련 학자들 및 역사 교사들이 참가하여 정해진 주제에 대해 발표하고 워크샵을 진행하는 학회가 개최되었다. 이러한 구축 과정을 거친 유럽지역학 프로젝트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역사적 사건을 피하지 않고 전자메일, 컴퓨터 화상 회의 등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원칙에 따라 “노르만족,” “식민,” “분쟁에 대한 반응, 1912-1921” 등 세 과목을 선정, 참여 학생들이 담당 교사들의 도움을 받아 자기 지역에 존재하는 과목 관련 유적 또는 자료 등을 연구하여 그 결과물을 다른 지역 학교의 학생들에게 기숙 교환 또는 정보통신 기술을 통하여 주고받고 비교 분석을 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비록 영국의 철수로 공식 출범한지 6년만인 1992년에 만료되었으나 초국경적 협력으로 만들어진 역사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북아일랜드의 미래 세대가 더 나은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여건을 마련해 주고 희망을 불어넣어 주고자 했던 유럽지역학 프로젝트의 도전 정신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looks into the collaborative effort among the British, Irish and Northern Irish education authorities in establishing a common history curriculum known as the ‘European Studies Project.’ The Margaret Thatcher government, which came into power in 1979, wa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Troubles in Northern Ireland in conjunction with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reland. Recognizing the need for reform in the history curriculum in Northern Ireland in order to heal the wounds of a severely divided community, Britain and Ireland decided to develop the European Studies Project whereby six secondary schools each would be chosen from England, Ireland and Northern Ireland, and the students aged 11 to 15 in these schools would study key issues and events in British and Irish history within the context of Europe and then make curricular contact with students and teachers from the other participating regions through joint field work, residential experienc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facilitate the running of the Project, a Director was appointed alongside one field officer from each of the three regions to provide support. A Steering Committee composed of the Chairman, the Secretary, an inspector and an alternate inspector from each region and a curriculum expert from each region was also established to oversee the Project's development and to evaluate its progress. A biennial History Seminar, composed of talks given by history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in the field, was set up to help teachers in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After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Project was completed, subjects such as “The Normans,” “Plantation” and “Attitudes to Conflict, 1912-1921” were chosen to be studied in the participating schools where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were able to exchange their research via residential experiences or computer conferenc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