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판적 한반도학의 시각으로 본 북조선 연구 - 탈분단시대 지역학의 탐색 (Crit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as Regional Studies of the Post Division Era and North Korea Research)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비판적 한반도학의 시각으로 본 북조선 연구 - 탈분단시대 지역학의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90호 / 1 ~ 24페이지
    · 저자명 : 김성보

    초록

    한국학이 북조선 인민과 해외 이주민 등을 배제하거나 주변화하는 편협한 국민주의에서 벗어나 다양한 주체들을 포용하는 개방적인 학문 제도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한국’이라는 국가를 지칭하는 용어 자체부터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한국학이 남북한의 지배구조를 정당화하고 미화하기 보다는 그에 비판적 자세를 견지하며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고통과 고민에 응답하고자 탈분단시대의 지역학으로서 ‘비판적 한반도학’을 제안한다. 공간의 다중성과 복합성, 주체의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 속에 통합을 추구하는 문제 해결 능력이라는 세 가지 관점은 비판적 한반도학의 출발점이다.
    비판적 한반도학의 관점에서 볼 때, 기존의 북조선 연구, 그중에서도 특히 각종 국가론은 북조선 내부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간과하는 특수·일원론적인 경향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탈분단적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친 ‘내재적 접근방법’ 또한 같은 문제점이 있다. 비판적 한반도학이 다양한 계층, 개인들의 고통과 고민에 응답함을 주된 방향으로 설정한다고 할 때, 이 한반도학이 성립 가능할 것인가의 여부는 얼마나 풍부하게 한반도 주민들의 삶과 생각을 다양성, 다성성, 역동성의 관점에서 해석해낼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그 하나의 대안으로 민중사 및 생애사 연구방법을 원용하여 어떻게 사람들이 체제와 이념을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전유하면서 본인의 신념과 개성을 지켜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목회자, 무역 종사자, 역사학자 등 3인에 대한 사례 검토이다.
    1967년을 전후하여 북조선에 유일체제가 형성되면서 체제의 경직성은 심화되었다. 그렇지만 그 안에서도 인민들은 지배이념을 각자 자기 나름대로 전유하며 자신의 삶을 때로는 체제의 요구에 일치시키고 때로는 그와 불화하면서 살아갔을 터이다.

    영어초록

    Korean studies must escape from narrow nationalism and South Korea-centered thinking. In order to transform into an open academic system that embraces various subjects in North and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term referring to the country Korea(Hanguk) itself.
    I suggest 'Crit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gional study in order to respond to the pain and distress of those who live there, rather than justifying and beautifying ruling systems of North and South Korea. Perspectives of multiplicity and complexity of space, diversity of subjects, and problem-solving ability to pursue unity in diversity are the starting points of Crit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studies researchers, especially state theorists, have a strong tendency to see North Korea as a special and monolithic country. They overlooked the diversity and dynamism within North Korea. 'Internal Approach' also has the same problem.
    For Critical studies on the Korean Peninsula to be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uncover the diverse and dynamic lives and thoughts of the Korean peninsula. I paid attention to how people preserved their beliefs and personalities while appropriating the system and ideology. Three cases were reviewed: pastor, trade expert, and historian.
    In 1967, the monolithic system was formed in North Korea, and the rigidity of the system intensified. However, even within it, the people would have appropriated the ruling ideology in their own way and sometimes lived in harmony with the needs of the system and sometimes discord with hi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