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간전승 북의 유형과 용도, 특징 고찰 -도상ㆍ사진ㆍ유물 자료를 근거로- (A Study on the Type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Folklore Drums -Based on images, photos, and relic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2.06
24P 미리보기
민간전승 북의 유형과 용도, 특징 고찰 -도상ㆍ사진ㆍ유물 자료를 근거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1권 / 67 ~ 90페이지
    · 저자명 : 송혜진

    초록

    본고는 문헌자료가 희박하고 관련 연구 성과도 저조하여, 북의 개념과 정의에 혼선이 적지 않은 민간전승 북에 대하여 관련 도상 및 사진, 실물 자료의 상호 비교를 통해 유형과 용도, 특징을 밝힌 연구다. 북 제작 및 유통과정, 조사보고서, 사전류 원고 등에서 통용되고 있는 민간전승 북의 명칭과 형태, 제작상의 차이점을 근거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조선후기의 관련 도상 및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반에 제작된 회화작품, 사진, 실물자료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북의 형태, 연주도구 채색, 용도 등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민간전승 북의 형태는 북면의 가죽을 고정하는 방식에 따라 ‘줄북 제1형’, ‘줄북 제2형’, ‘못북’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줄북 제1형’은 가죽끈, 혹은 실끈으로 연결하여 마감한 것이고, ‘줄북 제2형’은 줄북에 쐐기를 더한 일명 ‘쐐기북’이다. ‘줄북’의 가죽의 조임 기능을 보강한 ‘쐐기북’은 일종의 진화형으로 비록 도상자료에서는 구분되지 않지만, 일제강점기 사진 및 실물 자료에서는 ‘쐐기’를 활용한 여려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점은 ‘쐐기북’의 형태가 20세기에 들어 갑자기 출현한 것이라기보다, 그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음을 짐작케 해 준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 두 가지 유형을 동일시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으나, 형태상 구분되어야 하며, 현재 제작자 및 유통과정에서 통용되는 ‘쐐기북’이라는 명칭의 고유성도 인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 채색과 문양의 유무를 기준으로 ‘백(白)북’과 ‘단청북’으로 구분하여 비교해본 결과 ‘못북+단청북’의 형태가 많았고, ‘줄북’의 경우 북통에 채색한 실물 자료들도 일부 확인되긴 했으나 대부분 ‘백북’ 상태로 마감된 경우가 우세하였다.
    민간전승 북의 용도는 민간신앙 의례 중 맹인(盲人) 판수들의 북이 주로 ‘줄북’이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형태별 전용 개념을 논하기 어렵다. 종류별로 정형화된 형태와 규격이 유지되는 궁중 전승 북과 달리 지역 혹은 집단이 소유한 북이 여러 용도에 공유되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민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른바 ‘농악북’은 주로 ‘줄북’이고, ‘못북’은 소리 전용 북으로 기술되어 온 기존의 견해와 달리 ‘못붓+단청북’의 북이 판소리는 물론 무속의례와 농악에 사용된 예가 적지 않았다. 또한 민간전승 북은 형태와 규격, 용도, 명칭 등이 정형화된 궁중 전승 북과 달리, 혹은 시기에 따라 이형(異形)이 많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모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민간전승 북을 ‘농악북’, ‘풍물북’으로 일반화하거나, ‘소리북’, ‘굿북’, ‘승무북’ 등의 용도상으로 분류하는 시도, 혹은 ‘형태상 대동소이 하다’는 판단은 오류의 재생산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to clarify the type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folklore drums, where there is little confusion in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the drum, due to the sparse literature data and poor research results, through mutual comparison of related icons, photos, and relics. First, I presented terms and concepts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name, form, and production of folklore books that are currently used in book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research reports, and dictionary-type manuscripts. And based on this, we compared the shape of the drum, the instrument and the playing posture by using the related iconography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genre paintings and paintings of Kim Jun-geun produced from the end of th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photographic materials, and relics as the study subject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ethod of fixing the leather of the drum head, folk drums were largely divided into type 1, type 2, and nailed drum(mot-buk). The first type of String drum(jul-buk) is finished by connecting it with a leather cord or string, and the second type is a string with a wedge added to it. The wedge-studded drum(ssawegi-buk) can be seen as a kind of evolutionary type with a reinforced leather tightening function compared to the cord book. Since only the type 1 string drum was visible on the iconography, and the wedge-studded drum was confirmed in photos and relic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s origin can be estimated to be before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of these two types in existing studies should be corrected. This is because, in the category of string drum, it is classified into type 1 and type 2, or the wedge-studded drum, which is currently used in producers and distribution processes, is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when dividing into ‘unpainted drum(baekbuk)’ and ‘painted and patterned drum(dancheong buk)’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oring and patterns, there were many forms of ‘nail durm+ ainted and patterned drum’. Able to know.
    As for the use of folklore drums, it is difficult to discuss the concept of exclusive use of each type, except that the drums of the  blind fortune tellers (pansu) were mainly ‘Julbuk’ in folk religious ceremonies. It is confirmed that the drums owned by a region or group were shared for various purposes, unlike the royal traditional drums, which maintain the standardized form and standard for each type. In general, there was a perception that string drums were mainly used in ‘farmers band music(nongak)’, and nail drums were exclusively for pansori.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press an opinion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pinion. The form of ‘nail-durm+ painted and patterned drum’. was used in many examples not only for pansori, but also for shaman ceremonies and farmers band music. Therefore, the general practice of classifying folklore drums for use should be reconsidered, and it is of the opinion that it is desirable to approach the classification in terms of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