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 도상에 보이는 중기밀교적 특징 (Feature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Shown in the Icon of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in Daeheungsa Temple of Haenam)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3
25P 미리보기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 도상에 보이는 중기밀교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31권 / 219 ~ 243페이지
    · 저자명 : 유정애

    초록

    海南 大興寺 北彌勒庵 마애불상은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위치한 두륜산 정상에 조성된 마애불로 8세기 촉지인 불좌상에서 이어져 오는 전통적인 표현을 유지하면서도 본존불상 광배 밖의 넓은 공간에 좌우로 4구의 보살상이 배치되는 독특한 구도를 보인다. 이에 이러한 도상의 배경이나 의미에 대해 집중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의 전체적인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 구도면에서는 새로운 중기밀교상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었으나 그 위에 실제 본존상이나 보살상의 표현에서는 앞 시기의 전통적 특징들이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북미륵암 마애불상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촉지인 본존상을 중심으로 광배 밖에 커다란 형태로 네 구의 공양보살상이 배치된 구도이다. 네 구의 공양보살상의 배치된 구도는 중기밀교상의 요소를 반영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동인도 자이푸르 아촉불상과 중국 법문사 지궁에서 발견된 鎏金四十五尊造像盝頂銀函의 아촉불면과 비교된다. 이를 고찰을 통해 중기밀교상의 요소가 북미륵암상의 구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존불상의 대좌에서도 일부 중기밀교상의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존불상 자체의 양식은 신라 하대의 불상들과 공통적인 특징을 보였는데 착의법, 수인, 광배의 표현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미륵암 마애불상의 조성시기는 양식비교를 통해서도 통일신라기를 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북미륵암 마애불상 조성의 직접적인 역사적 배경은 현재로서는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없지만, 전반적으로 신라 하대 비로자나불상들에 보이는 밀교상의 영향 등과 비교하여 중기밀교상의 영향이 확대되는 과정 속에서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도 조성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이시기 다른 촉지인 불좌상에서는 그러한 예를 찾아보기 힘들어서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상은 당시 매우 독특한 예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볼때 중기밀교가 통일신라시대에 종파로서 성립되지는 않았지만 꾸준히 당시 불교조각의 조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北彌勒庵) in Daeheungsa Temple(大興寺) of Haenam(海南) is a rock-carved Buddha constructed on the top of the Duryunsan Mountain located in Samsan-myeon, Haenam-gun, Jeollanam-do Province.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al expression continued from the seated Buddha statues with Bhumisparsha mudra of the 8th century, this statue shows a distinctive composition where four Bodhisattva images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rge space outside the halo of the principal Buddha. Thus, this study aimed to intensively reveal the background or the meaning of this ic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verall figurative features of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in Daeheungsa Temple of Haenam, it reflected the factors of the new Middle Esoteric Buddhism in the composition aspect, but the expression of the actual principal image and the Bodhisattva images on top of that was found to be continuing the traditional features of the previous period.
    What is most noticeable from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is the composition where four offering Bodhisattva images are displayed in a large form outside the halo centering on the principal Buddha with Bhumisparsha-mudra. The composition arranged with the four offering Bodhisattva images is deemed to have reflected the factor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s images and is comparable to the East India's Jaipur Akshobhya Statue and the Akshobhya-carved sides of “The Silver Chest Carved with 45 Sacred Images(鎏金四十五尊造像盝頂銀函)” that was discovered in the underground chamber of Famen Temple(法門寺), China. Through this contempla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factors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the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Moreover, the influence of Middle Esoteric Buddhism was also partly examinable on the pedestal of the principal Buddha statue.
    However, the style of the principal Buddha statue itself showed common features of the Buddha statues from the late Silla Dynasty, and these could be confirmed in the expression of the dress mode, hand seal, and halo. Therefore, it was also suggested through the style compariso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does not go beyond the Unified Silla period.
    Although there is no identifiable material on the direct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the overall comparison with the influence of the Esoteric Buddhism portrayed in the Vairocana Buddha Statues(毘盧遮那佛像) of the late Silla Dynasty, etc. signifies that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in Daeheungsa Temple was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the expanding influence of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as well. However, as such examples are difficult to find in other seated Buddha statues with Bhumisparsha-mudra of this period, the Rock-carved Buddha Statue at Bugmireugam Hermitage in Daeheungsa Temple is considered to be an extremely unique case of the time. The above contemplation implies that while the Middle Esoteric Buddhism was not established as a religious sect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it had consistently yielded great influence on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statues of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