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Navigating Identity: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Related Field Professionals’ Views on Arts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8
39P 미리보기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질적 내용 분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경영연구 / 55호 / 75 ~ 113페이지
    · 저자명 : 신혜선, 윤현경

    초록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대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재를 성찰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는 ‘2010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 이행안(로드맵)의 세 번째 목표인 지역 내 소수자와 이민자들을 포용하는 예술교육 전략에 주목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비판 이론(critical theory)을 바탕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 분석(qualitative content analysis)으로 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탈북 청소년이 체감하는 사회와 정체성 고민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접근방법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탈북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학습대상자에 대한 이해가 보다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그들이 자신을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한 개인으로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인적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동시에 탈북 청소년을 구분 짓는 프로그램이 기존의대상화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current issues of arts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designed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a and then navigates further steps to better serve the group. The purpose of study also pertains to the '2010 Seoul Agenda: Goals for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announced at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Arts Education, particularly, to the third Goal indicating how arts education practices can contribute to resolving social and cultural issues and promoting social cohesion and intercultural dialogues (UNESCO, 2010). This research engages with critical theory approach and adop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for collected documents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terview participants found its need of current arts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become more value-driven and participant-centered. Currently, those programs available seem to incline to helping their adjustment to the South Korean society through arts-related activities, such as enhancing Korean language skills and learning Korean culture. Rather, it has been addressed that provi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and opportunities to search their own ‘voice(s)’ should be core objectives of the arts education programs. Moreover, when it is offered, arts educators and administrators need to make sure that participants can feel safe and secure as being present at the space for programs in order to express and encounter their true inner vo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