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가 책(Artists’ 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Book Object’ in ‘Artists’ Book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예술가 책(Artists’ 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 수록지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 / 18권 / 4호 / 85 ~ 106페이지
    · 저자명 : 임영길, 김유림

    초록

    1960년대에 유럽과 미국의 예술가들이 직접 작품으로서의 책을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1970년대를 통해 예술과 책을 둘러싼 다양한 실험이 진행되었다. 예술과 책의 교집합에 있는 ‘예술가 책’ 중에서도 순수 예술에 더욱 가까운 ‘북 오브제’는 이러한 실험의 결과물이다. ‘예술가 책’에 대한 분석이 짧은 역사로 인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예술가 책’에 속하는 ‘북 오브제’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인터넷과 전자책을 통한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책의 종말’ 이후 책의 물성을 탐구하는 데에 예술적 제안이 될 ‘북 오브제’는 점차 중요한 매체가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해 연구는 시의적절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그간 발표된 국내외의 ‘예술가 책’에 관련된 작품과 문헌을 토대로 아직 우리나라에 완전하게 정착하지 않은 ‘예술가 책(Artists’ Books)’과 ‘북 아트(Book Art)’에 관련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예술가 책을 크게 ‘전형적인 예술가 책’과 전형적인 책의 구조에서 벗어난 ‘북 오브제’로 나누고, 이 ‘북 오브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특성을 연구하고 유형화한 것이다.
    ‘북 오브제’작품의 제작 뿐 아니라 오브제와 설치 작품을 오가며 다양한 활동을 해왔던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1941년 작 <여행용 가방>을 통해 ‘북 오브제’가 다른 오브제와 구별되는 특성을 분석했고, ‘북 오브제’를 여타 기존의 오브제와 설치, 그리고 퍼포먼스 작품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매체로서 ‘북 오브제’가 가진 표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제작이 가능한 복제성이다. 현대 미술의 오브제 작품들은 대부분 에디션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된다. 반면 북 오브제는 책의 형태적, 개념적 구조에 기초하고 있으므로 대부분 복수원본(multiple original)적인 특성이 있다. 둘째, 독자의 참여도가 높은 상호작용성이다. 전시장의 놓여있는 대부분의 오브제와 설치 작품들은 관람자가 손으로 만지거나 들어볼 수 없다. 반면 <여행용 가방> 같은 뒤샹의 포트폴리오 박스 형태의 북 오브제는 독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해석을 요하는 상호작용을 한다는 점이다. 셋째, 북 오브제만이 갖는 공감각적 지각 방식의 특성이다. 주로 시각만을 사용해 감상하는 오브제와는 다르게 북 오브제는 책을 만질 때의 촉각, 그리고 책장을 넘길 때의 청각, 때로는 후각까지도 사용해 공감각적으로 감상한다는 특성이 있다. 넷째, 책을 제작하는 종이를 주재료로 한 북 오브제는 종이라는 재료의 모성(matrix)이 갖는 물성적 특징을 지닌다. 다섯째, 책에 관련된 행위적인 요소가 중요하다. 여섯째, 책에 인쇄된 텍스트나 이미지의 정보가 필연적으로 드러나면서 자료와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메타코드적인 특성이다.
    위와 같은 특성에 따라 북 오브제의 작품을 ‘북 스컬프쳐’, ‘북 인스톨레이션’, ‘북 퍼포먼스’, ‘버추얼 북’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작품들을 소개하였다.
    아직 국내외에 충분히 많은 북 오브제 작품이 제작되지 않은 관계로 제한된 작품에 의존했기 때문에 연구가 완결되었다고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이 북 오브제의 특성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것을 토대로 앞으로 더 많은 작가들에 의해서 다양한 작품들이 제작되어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In the 1960s, artists from Europe and America have started to make books as a part of their own artistic practice, and their experiments on books became more diverse throughout the 1970s.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Book’, there is ‘Artists’ books’, and the one that is closer to ‘Art’ in ‘Artist’s books’ is the‘Book object’ which is a result of those artistic experiments. Because of its short history, there is not enough discourse about ‘artists’ books’ yet, and there is even less discourse about ‘book object’. Since there is overwhelming amount of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nd e-books, people have discussed about ‘the end of the paperback era’. As an artistic suggestion for the current issue about the materiality of books, ‘book object’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ture, so it is well timed to conduct a research on ‘book object’.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ferences, this research arranged the terminology and the concept on ‘artists’ books’ and ‘book art’, which were not yet settled in Korea. We divided artists’ books into two: ‘typical artists’ books’ and ‘book object’, then we focused on ‘book object’ to analyze the features and classify them.
    Marcel Duchamp not only produced the ‘book object’, but also worked on various object and installation works. We compared his ‘book object’, <Box in a Valise> produced in 1941, with his other object pieces. We expanded the concept of book object and did a comparison analysis with the other forms of art such as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Here are the distinguishing features of ‘book object’.
    First, it is reproducible. In contemporary art, object art is considered to be one of a kind. However, rooted in a book’s formal and conceptual structure, most book object has ‘multiple original’ features. Second, it is highly interactive. Most object art and installation art in a gallery space is not supposed to be touched. But book object in a form of portfolio box like Duchamp’s <Box in a Valise>, calls for th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piece. Third, it is synesthetic. While we solely rely on sight to observe object art, we use more than two senses when we look at book object; we touch to turn the pages, hear the sound of the turning and smell the book. Forth, it is mostly made with paper thus it has paper’s materialistic matrix feature. Fifth, the book-related perform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tion. Sixth, it is metacoded; it is inevitable that it contains data and information because it is a form of printed text and image.
    Based on these features, we divided book object into four categories: ‘book sculpture’, ‘book installation’, ‘book performance’, and ‘virtual book’, and introduced the art works of each category.
    There had been not enough book object works produced in domestic and foreign art scenes, and since this research was based on a limited number of book object,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completed.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 basis for the future studies in terms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ook object, and those studies would encourage more artists to make more book object for the continuous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디자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