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태평양전쟁기 북마리아나 지역 한인의 전쟁동원과 포로수용소 체험 (A Study on the War Mobilization and POW Camp Experience of Korean Residents in Northern Mariana Islands during the Pacific War)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9
37P 미리보기
태평양전쟁기 북마리아나 지역 한인의 전쟁동원과 포로수용소 체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20호 / 271 ~ 307페이지
    · 저자명 : 김명환

    초록

    본고에서는 통계자료와 명부, 증언 등을 근거로 하여 태평양전쟁 시기 사이판, 티니안 등 북마리아나 지역으로 동원되었던 한인들의 강제동원현황, 전쟁피해 및 귀환 등을 규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1939년 이후 북마리아나 지역 한인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데, 같은 시기 일본인 증가세를 넘어설 정도였다. 한인 노무자 동원은 태평양전쟁 발발을 전후한 시기에도 지속되었는데, 1941년 전라남도 지역에서 모집된 노무자들의 명부를 보면 그 대강을 엿볼 수 있다.
    1944년 들어서며 북마리아나 지역의 긴장이 더욱 고조되자 일본군은군사시설 구축을 서두르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한인들도 현지 주둔군의 통제를 받아 농장노동 이외에 군 관련 노동에도 동원되기 시작하였다.
    군속 동원도 본격화하여 해군군속의 경우 약 2,000명의 한인이 동원된 사실이 확인된다. 태평양전쟁 당시 남양군도 거주 한인들의 처지는 전황과 점령군에 따라 크게 엇갈렸다. 사이판과 티니안은 미군점령지로 민간인 포로수용소가 설치되었다. 수용소는 일본인과 분리되어 있었고 미군은 한인들을 구별하여 대우하였다. 수용소 내 생활은 자치제로 운영되었다. 군정부의 지시를 받아 한국계 미국인 통역관이 매일 출입하며 감독하였다. 수용소의 한인들은 비교적 자유로운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북마리아나 지역의 한인들은 미주 동포들과 일정한 연계를 가졌던 것으로 확인된다. 미주 동포들은 북마리아나 지역의 한인들에게 독립정신을 불어넣는데 공을 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북마리아나 지역의 한인들은 1946년 1월 중순경부터 귀환하기 시작하였다. 미군이 제공한 수송선에 승선하여 국내로 들어온 것이었다. 미군은 기본적으로 북마리아나 지역에서 원주인 이외의 외국인을 전원 퇴거하도록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미군점령 이전에 이미 현지인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고 살고 있었던 사람들에 대해서는 잔류가 허용되었다.

    영어초록

    Based on statistical data, rosters, and testimonies, this paper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forced mobilization, war damage, and return of Koreans who were mobilized to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such as Saipan and Tinian during the Pacific War.
    Since 1939, the population of Koreans in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has continued to increase, more than the Japanese during the same period.
    The mobilization of Korean workers continued eve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and such a situation can be seen through the list of workers recruited in Jeollanam-do in 1941.
    In 1944, as tensions in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intensified, the Japanese military began to rush to build military facilities. Accordingly, Koreans also began to be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under the control of local troops. The mobilization of military personnel also began in earnest, and it was confirmed that about 2,000 Koreans were mobilized for naval military personnel.
    During the Pacific War, the situation of Koreans living in the South Sea Island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occupation forces.
    Saipan and Tinian were occupied by the U.S. military, and civilian prisoner of war camps were established. The camps were separated from the Japanese, and the U.S. military treated Koreans separately. Life in the camps was operated on a self-governing basis. Under the direction of the military government, Korean-American interpreters entered and supervised every day. It seems that Koreans in the camps lived relatively free lives.
    It is confirmed that Koreans in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had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ir American compatriots. American compatriots seem to have worked hard to inspire the spirit of independence to Koreans in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Koreans in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began to return to Korea in mid-January 1946. They entered Korea aboard a transport ship provided by the US military. The US military originally planned to evict all foreigners other than natives from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However, in the end, those who had already married locals and lived in a family before the US occupation were allowed to rema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