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7세기 경기북부지역 신라 성곽의 철기 수급체계 (Ironware supply system of Silla Fortress in 6~7th century, Northern Gyeonggi province)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2
44P 미리보기
6~7세기 경기북부지역 신라 성곽의 철기 수급체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54호 / 205 ~ 248페이지
    · 저자명 : 김길식

    초록

    본고에서는 6~7세기 신라의 변방인 경기북부지역 성곽에서 출토된 각종 철기들을 중앙인 경주와 지방에서 출토된 철기와 비교․분석하고, 제철 유적, 현지의 철기 제작 유적, 단야구, 성산산성 출토 ‘鐵 목간’, 신라 왕경과 그 외곽지대 수공업 공방지와 생산 물품 등의 검토를 통해 6세기 중후엽과 그 이후~7세기 경기북부를 비롯한 지방에 철 및 철기가 어떻게 제작․수급되었는지를 지방지배와 결부시켜 살펴보았다.
    6세기 중후엽~7세기에 집중 축성된 경기북부지역 신라 성곽 출토 철기들은 경주와 다른 지방 출토 철기들과 기종구성 및 형식이 공통적이다. 이는 신라 국가의 일원적인 힘이 작용하여 통일된 기술에 의하여 제작되어 엄격한 통제․관리 하에 철기의 수급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철정의 형태와 크기가 대․중․소형으로 규격화되고, 문확쇠나 무기․농공구들이 양식적 통일성을 보이고 있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 한편 경기북부지역 신라성곽에서 출토되는 철기는 6세기 중후엽과 7세기의 양상이 같으면서도 다른 양상을 보인다. 6세기 중후엽의 축성 초기에는 현지의 백제계 철기가 소량 확인되는 가운데, 신라 철기가 더 많은 양으로 함께 출토된다. 이는 신라의 진출 초기에는 신라 중앙과 먼저 진출하여 안정된 지배력이 확보된 다른 지방으로부터 철기를 수급 받는 한편, 현지의 철기 생산기반과 기술을 활용하여 현지로부터도 수급 받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지에서 수급된 철기는 소량에 불과하고 간단한 농공구나 생활용구 등에 제한되었다. 또 신라 철기 양식의 기조에 백제 철기 제작 기술 요소가 융합된 것으로 보아 현지 수급이라 하더라도 신라의 기술지도와 통제․관리 하에 제작과 수급이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다음 6세기 후반~7세기에는 모든 종류의 철기가 나타나고 수량 또한 폭증한다. 이 시기에 철기 기종과 수량이 폭증하는 것은 군사․행정 거점인 성곽으로 철기가 집중되어 일원적인 통제․관리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 이 시기에도 현지 제작․수급이 이루어졌으며, 그 비중은 크게 확대되었으며, 신라 양식으로 완전히 변모되었다. 현지에서 제작․수급된 철기가 완전히 신라 양식화된 것은 이전 시기에 비해 더욱 강화된 통제 ․관리체제 하에서 철기 제작과 수급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철기의 현지 생산․수급은 이전 시기에 비해 크게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지역 내에서 철 생산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현지의 소규모 생산기반과 기술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현지 수급은 제한적이었다. 이제 철기의 수급은 신라 국가가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중앙과 지방의 철기 전문 생산 공방 또는 기지로부터 공급받아 공급해 주는 방식으로 선회하게 되었다. 따라서 간단한 생활필수품이나 몇몇 농기구류 이외의 중요한 철기는 철기 완제품으로 제작하여 공급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이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철 목간’과 대모산성, 계양산성, 덕진산성 등에서 출토된 불명철기 조각과 집게, 모루, 노벽체편, 소구경 송풍관편 등 단야 관련 유물들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국가적 수취에 의하여 이미 영역화된 주변의 다른 지방으로부터 철기제작 소재인 고철 또는 폐철기 형태로 군사․행정 거점으로 운송된 후 현지에서 철기를 제작하여 관할 지역으로 공급되는 형태가 점차 큰 비중을 차지해 나갔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tried to observe how iron and ironware had been produced and distributed across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its local area, which had been the outskirt of Silla. The observation was enabled by reviewing various ironware, iron manufacture ruins, iron tools, handicraft workshop sites, manufactured tools, and excavated from the fortress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Silla extended its territory to this area in the middle and late 6th century, and central Silla and other provinces as well as producing area supplied the ironware to the Northern Gyeonggi province. In the late 6th and 7th century, ironware production rapidly increased, and ironware concentrated to fortresses. This was possible because production and supply of ironware was all controlled and managed under the national government. Production and supply of ironware in the producing areas also appeared, and it flourished until it took significant proportion of total ironware production. However, former ironware production technology of Baekje completely disappeared and it transformed into the ingenious style of Silla. In this period, the n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engaged in the supply of ironware in the local areas. Therefore, Silla manag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mportant ironware except for some indispensable home appliances or agricultural tools, so that ironware was produced in complete form and provided to the local areas in need. In other words, Silla managed not only the provision of raw materials from other local areas to the production sites, but also the supply of complete ironware to the districts in control, according to its national tax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