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간도」에 투영된 개척신화와 문화적 민족주의 (Myths of Frontier and Cultural Nationalism Projected on 「Bukgando」)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8.06
31P 미리보기
「북간도」에 투영된 개척신화와 문화적 민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24호 / 171 ~ 201페이지
    · 저자명 : 김주현

    초록

    안수길의 「북간도」는 1960년대 역사소설을 대표하는 수작이지만, 작품에 내재된 민족주의에 성격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어왔다. 이 논문은 「북간도」가 60년대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았다는 선행 연구에 공감하면서, 한편으로 「북간도」가 1920년대부터 한국 민족주의 운동론에서 빼놓을 수 없는 문화적 민족주의론을 투영하는 데 착안해 일제 강점기와 1960년대 민족주의론을 연결해 60년대 역사소설의 문법을 밝히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이는 만주개척을 주도했던 이한복 가문과 장치덕 가문의 흥망성쇠에 대한 서술태도에서 드러난다. 많은 논자들이 지적했듯, 「북간도」는 표면적인 주제(항일서사)와 이면적인 주제(생존의 논리)가 부단히 길항한다. 문화적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그것은 개척지 만주에서 한복 가문이 상징하는 민족의식으로부터 치덕 가문이 상징하는 개인의 분리를 보여준다. 문화적 민족주의는 또한 교육에서도 관철되는데, 북간도에서 이는 서당→근대적 민족교육→일본식 교육을 따라 분절되면서 반공 이데올로기와 만나고, 이한복의 후손이 생존의 논리를 수락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화적 민족주의는 근대화를 최우선으로 내세웠던 60년대의 경제적 민족주의를 환기시키는 바, 지배 이데올로기를 투영하는 역사소설의 특징이 여기서도 확인된다.

    영어초록

    Ahn Soo‐gil’s 「Bukgando」 is an outstanding work representing historical novels in the 1960s, but the nature of nationalism underlying the novel has long been criticized. Sympathizing with previous research maintaining that 「Bukgando」 was influenced by nationalism in the 1960s and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Bukgando」 projects the theory of cultural nationalism, which cannot be omitted from discussion on Korean nationalist movements from the 1920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explain the grammar of historical novels in the 1960s in connection to the theory of nationalism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n the 1960s.
    Specifically, this is revealed by the attitude of narration on the rise and fall of the families of Lee Han‐bok and Jang Chi‐deok who led the advance to the frontiers of Manchuria. As pointed out by many critics, the superficial theme (anti‐Japanese epic) and the theme on the reverse side (the logic of survival) compete with each other unceasingly in 「Bukgando」.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nationalism, it shows the separation of individuals symbolized by Chi‐deok’s family from national consciousness symbolized by Han‐bok’s family in the frontiers of Manchuria. What is more, cultural nationalism is reflected in education. That is, in 「Bukgando」, education is articulated into village school→modern national education→Japanese‐style education and then it encounters anti‐Communist ideology and influences Lee Han‐bok’s descendents in their acceptance of the logic of survival. The cultural nationalism reminds us of economic nationalism in the 1960s, which gave top priority to modernization, confirming again the characteristic of historical novels reflecting the ruling id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