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북 여성 작가의 글쓰기 연구 (Study on Writings by female refugee writers from North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7.04
29P 미리보기
탈북 여성 작가의 글쓰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51호 / 421 ~ 449페이지
    · 저자명 : 연남경

    초록

    본고는 생존 회로를 따라 국경을 넘는 탈북 여성이야말로 서발턴의 현재적 형상이라 판단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자 탈북 여성 작가들의 글쓰기를 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소설에서 다수 이루어지는 ‘한국인-작가’의 ‘탈북-여성 인물’ 재현이 주체와 대상의 불일치에서 비롯하는 윤리적 난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서발턴의 목소리를 통해 글쓰기 의도와 행간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다수의 탈북 여성들이 탈출 과정에서 폭력과 학대, 성적 착취를 겪고 탈출에 성공한 경우에도 그 시기는 트라우마로 남는다. 외상 사건은 시도 때도 없이 경험자에게 침투하며 사건을 경험한 당시의 정서적 강도를 동반하기에 탈북 여성 작가의 글쓰기는 트라우마에 고착되어 있는 인물의 현재적 고통을 증상으로써 쓰는 작업이 된다. 『청춘연가』에서 우울증은 딸을 내면에 합체해버린 인물의 층위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세 작품 공통적으로 탈북자가 고향과 맺는 관계와 관련하여 작가 층위에서 작동하기도 한다. 탈북 여성 작가에게 인정할 수도 부인할 수도 없는 양가적 대상이 고향(북한)이라 할 때, 강력한 증언의 욕망과 더불어 한국 사회 정착에 의지를 보이는 글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그녀들은 애증의 대상을 내면화한 우울증적 주체에 다름 아니다. 한편 텍스트 소통 구조 안에서 탈북 여성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밝힘으로써 이 사회에 자신이 누구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고통과 죽음에의 접근, 슬픔과 같은 단수성의 경험을 전달하는 데 적합한 언어를 찾지 못하며, 자기 증명의 서사는 완성되지 않는다. 이때 자기 서사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이들의 글쓰기야말로 인간의 근본적 취약성과 상호 의존성을 보여주는 집합기억에 해당한다. 그녀들의 글에서 독자들은 인간 존재의 겸손과 무지를 배운다. 그렇기에 탈북 여성 작가의 글을 읽는 과정에서 완전한 대답을 기대하지 않고 계속 누구인지 묻는 것만으로도 그녀들에게 자리를 마련해주려는 주체의 윤리가 발견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garded that female refugees from North Korea as most appropriate present figure for the idea of subaltern of Spivak, who cross the border along the survival circuit, and investigated the writings of three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dimension that their voices needed to be heard. It is because the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refuge-female-character’ by ‘Korean-male-writer’ has the possibility of epistemic violence for the discord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object of writing.
    Even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multiple female refugees still feel traumatized about their defecting period during which they were victimized under violence, maltreatment and sexual abuse. Such traumatic memories are brought back to them regardless of the time and they are emotionally as strong as they were at the point of occurring. For this reason, female North Korean writers’ writings are the work of describing the symptoms of present pain of a traumatized character.
    melancholia is sometimes found in a character who incorporated her daughter into her inner ego or in a writer herself in her way of building relationships with her hometown. If the homeland(North Korea) is an ambivalent subject for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as they cannot accept or nor deny it, the narrator of fictions, that is, writers, are no more than a melancholic subject who internalized the object of both love and hatred, despite the stories showing excessive will to settle down in South Korea.
    Female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try to give an account of themselves by revealing their identity. But, by failing composition of self-proof narratives, their writings become to deliver human's fundamental weakness and interdependence. Therefore, the readers can learn humility and ignorance from their writ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