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水北 金光炫의 생애와 한시 연구 (A Study on the life and poetic literature of Subuk(水北) Kim Kwanghyun(金光炫))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7.10
34P 미리보기
水北 金光炫의 생애와 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5호 / 43 ~ 76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水北 金光炫(1584~1647)은 仙源 金尙容(1561~1637)의 차남으로, 17세기 전반기에 활동하였다. 光海朝에는 출사하지 않고 仁祖反正 이후 관직에 올라 중요 요직을 거쳤다. 부친의 죽음과 숙부 金尙憲의 심양 구류를 직접 목격하며, 이후 안동 김문의 상징이 된 節義의 전통을 후손에게 남겨 주게 된다. 김광현의 체험과 내적인 움직임은 그가 남긴 4권의 시문집 『水北遺稿』에 담겨 있다.
    김광현의 한시 가운데 1/3은 三水 유배기에 창작되었다. 유배 초기의 작품에는 그가 처한 상황을 狂言으로 자초한 것, 운명적인 것이라 여긴 내용이 많다. 그래서 끊임없이 임금을 그리워하고 곧 돌아갈 것이라 희망하였다. 그러나 바람과 달리 유배기간이 길어지자 연로한 부친을 걱정하고 다시 뵐 수 있을지 초조해하였다. 그래서 방면된 기쁨을 어버이를 다시 만나는 것에서 찾았다. 이렇듯 김광현에게 있어 임금과 부친은 삶의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의 한시 작품에는 작자의 솔직한 심정과 이러한 삶의 태도가 잘 드러나 있다.
    유배에서 방면된 뒤 김광현은 더 큰 시련을 겪게 된다. 병자호란으로 인한 국가적 상처를 목도하고, 부친의 憤死를 전해 들어야만 하였다. 이후 김광현은 洪州의 鰲頭에 은거하여 지냈다. 그곳에서 김광현은 여기저기 흩어진 가족과 오랜 친구를 그리워하면서 은자의 삶을 살았다. 이는 젊은 시절 읊었던 歸田을 실천한 결과였다. 특히 안동 김문에서는 은거의 터전을 마련하는 것이 전통이었는데, 부친 김상용의 靑楓溪, 숙부 김상헌의 石室 등이 그러하다. 김광현의 鰲頭 역시 안동 김문의 또 다른 은거지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김광현은 안동 김문의 은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개척하였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Subuk(水北) Kim Kwanghyun(金光炫, 1584~1647) was the younger son of Kim Sangyong(金尙容, 1561~1637), who was activ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He did not serve to the Guanghai(光海), but went to the office after Incho(仁祖)’s enthronement. He witnessed his father's death and uncle's Shenyang(瀋陽) detention, and left his descendants a tradition of clairvoyant, which became a symbol of Andong(安東) Kim family. His experience and intrinsic motions are contained in his four volumes of the book Subuk Yugo(『水北遺稿』).
    One third of Kim Kwanghyun's poems were created in the exile of Samsu(三水). He constantly missed his king and hoped to return soon. However, unlike hopes, as the period of exile became longer, he was nervous about worrying about elderly father and seeing him again. So he found the joy in finding the parent again. For Kim Kwanghyun, the king and his father occupied a large part of his life, and his poetry works reveal his candid feelings and his attitude toward life.
    After Byungja-Horan, Kim Kwanghyun stayed on the Odu(鰲頭) of Hongju. From there, he lived a life of hermit while missing families and old friends. This was the result of practicing Retort, which he had recited in his youth. Especially in Andong Kim family, it was the tradition to provide shelter for the manger, such as Kim Sangyong’ ChungPoongGye(靑楓溪) and his uncle Kim Sangheon’s SukSil(石室). Kim Kwang-hyun's Odu also becomes another dwelling of Andong Kim family. From this point of view, Kim Kwanghyun has pioneered the succession of Andong Kim family's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