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Junhogu Related to Dongnaebu Sotongsa Kim Chaegil and His Activities Before and After Opening of Port)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11
43P 미리보기
동래부 小通事 金采吉 관련 준호구와 그의 개항 전후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69호 / 183 ~ 225페이지
    · 저자명 : 김동철

    초록

    왜관을 무대로 외교·무역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는 일본어 역관 2명이 서울에서 파견되었다. 그들이 훈도와 별차다. 이들을 보좌하는 현지 출신 하급 통역관이 소통사다. 소통사와 같은 하급 역관은 조선전기 ‘삼포왜관’ 때부터 존재하였다. 이들이 왜학생도다. 『경국대전』에 규정된 부산포 왜학생도의 정원은 10명이다. 『증정교린지』에는 왜학생도를 소통사라 하였다. 소통사는 정원이 있었다. 16명에서 35명, 다시 30명으로 바뀌었다. 소통사는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였기 때문에 명칭만 약 20종류다. 이 가운데 중요한 직책은 首通事, 陪通事다.
    필자는 최근 소통사 김채길 관련 준호구 약 20점을 입수하였다. 이 준호구에서 중요한 것은 김채길과 아버지 김대련의 職役이 ‘生徒’란 점이다. 생도는 ‘倭學生徒’를 가리킨다. 김채길은 배통사 등 활동을 하였다. 그는 1876년 1차 수신사 때는 통사로서 일본에 갔었다. 1876년 조일수호조규와 1876년 1차 수신사에 참가한 공로로, 1880년 사역원은 그의 포상을 추천하였다. 김대련과 김채길은 부자가 소통사로 활동한 대표적인 사례다.

    영어초록

    Two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who were in charge of various affairs related to diplomacy and trade were dispatched from Seoul to waegwan. These interpreters were called hundo and byeolcha. Sotongsa was the local low-ranking interpreter who assisted these dispatched interpreters. Low-ranking interpreters like sotongsa existed from the time of ‘Sampowaegwan’(i.e. three waegwan located in representative harbor citi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y were called waehaksaengdo(i.e. Japanese language trainee-interpreter). The maximum number of waehaksaengdo in Busanpo port prescribed in Gyeonggukdaejeon(National Code of Joseon) was ten. Waehaksaengdo was referred to as sotongsa in Jeungjeonggyorinji (Diplomacy of Joseon). A quota was set for sotongsa, which started out at 16, then changed to 35, and again to 30. Because sotongsa handled many different affairs, there were about 20 by-names used for sotongsa depending on the position. Sutongsa(sotongsa who served as the leader of sotongsa) and baetongsa (sotongsa who were responsible for assisting high-ranking interpreters) were the two most important positions held by sotongsa.
    The researcher recently procured 20 pieces of junhogu(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s) related to a sotongsa named Kim Chaegil. A noteworthy fact according to these family relationship certificates is that Kim Chaegil’s father Kim Daeryoen’s assigned role was ‘saengdo.’ Saengdo refers to Yeokhaksaengdo (student or interpreter trainee of Japanese Studies). Kim Chaegil handled affairs of baetongsa. In 1876 when the first Joseon envoy was sent to Japan, he joined the envoy as an interpreter. For his contribution of participating in the first envoy in 1876 and the Japan-Korea Treaty of 1876, Sayeokwon recommended him for reward in 1880. Kim Daeryoen and Kim Chaegil were representative case of father and son working as sotong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