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금동보탑의 재질특성과 조성시기 해석 (Interpretation of Manufacturing Age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n the Upper Part Gilt Bronze Pagoda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5.02
23P 미리보기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금동보탑의 재질특성과 조성시기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52호 / 47 ~ 69페이지
    · 저자명 : 이찬희, 조영훈, 전병규

    초록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를 구성하는 금동보탑의 소지금속에는 청동의 주성분인 구리, 주석, 납뿐만 아니라 아연(최대 13.4wt.%)을 첨가하였다. 재료학적으로 아연이 주석보다 많아 전형적인 청동으로 보기 어렵고, 황동으로 분류하기에는 아연의 함량이 적다. 따라서 보다 넓은 의미의 동합금제로 보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소지금속의 합금기술은 고대에 가장 많이 사용했던 Cu-Sn-Pb의 3원 합금을 능가하는 것으로, 상륜부의 용도와 성격에 최적화된 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상륜부는 외부에 한해 금이 매우 높은 함량(40.3~93.8wt.%)으로 검출되었고, 육안으로도 도금 층의 일부분이 뚜렷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전체적으로 금을 이용해 도금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도금기술을 의미하는 수은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아말감기법이 적용된 것을 지시한다. 따라서 마곡사 오층석탑의 상륜부는 동합금 소지에 금도금이 적용된 “금동보탑”으로 칭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 금동보탑은 납이 비교적 높게 검출되는 것으로 보아 주조에 의해 제작된 것을 알 수 있으나 주석의 함량이 10% 이하이다. 따라서 주조성을 보완하기 위해 아연과 납을 첨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금동보탑의 아연 함량은 여말선초 소금동불과 거의 유사하다. 또한 조선시대의 상평통보처럼 인위적으로 황동을 유도한 것이 아니라 청동 합금에 아연을 첨가함으로써 적은 양의 주석 기능을 대체하여 보강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금동보탑의 제작 시기는 한반도의 금속 아연 제련이 시작된 17세기 이후보다는 노감석을 이용한 칼라민 공정으로 합금이 가능한 14세기로 보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곡사 오층석탑은 고려시대 후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보아 석탑이 가장 먼저 건립되었고, 이때 금동보탑이 아닌 별도의 상륜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보탑은 14세기 원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불전 봉안용 또는 사찰 공예탑으로 별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석탑은 1782년 대형 화재 시 붕괴되면서 탈락과 박리․박락이 상당수 발생하였고, 19세기 복원 과정 중에 봉안용 금동보탑이 석탑의 상륜부에 조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영어초록

    The upper part gilt bronze pagoda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contained zinc (up to 13.4wt.%) as well as copper, tin and lead as the main components of bronze. In terms of material, zinc was more than tin. It is not bronze, however it is also hard to be classified as brass due to less content of zinc. Therefore, it seems proper to regard it as copper alloy. Gilt technology of the metal exceeded Cu-Sn-Pb ternary alloys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ancient period, and it seems to apply the optimized method for the us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pper part. In the upper part, gold contents was very high (40.3 to 93.8wt.%) in the case to exterior, and some gilt layers were apparently observed visibly. Thus, overall gold gilt was made. In addition, mercury that indicates the gilt technology was found, which means amalgam technique was applied. Accordingly, it is appropriate to regard the upper part in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as ‘gilt bronze pagoda’ with copper alloy material. This gilt bronze pagoda has higher lead contents, which indicates that it was manufactured by casting. However, the content of tin was less than 10%. Accordingly, zinc and lead seemed to be added to complement the castability. Zinc contents of gilt bronze pagoda were very close to small gilt bronze Buddhist statues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Like ‘Sangpyeongtongbo’ in Joseon, it did not induce brass artificially, however added zinc to bronze alloy to replace the function of less amount of tin.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gilt bronze pagoda seems to be the 14th century at a time when gilt was made possible with calamine process instead of 17th century when metal zinc smelting started in the Korean Peninsula. The Five-story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r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stone pagoda was built first. At this moment, there seemed to have a separate upper part rather than gilt bronze pagoda. Gilt bronze pagoda seemed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in the 14th century through the exchange with the Won Dynasty in ancient China for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Buddhist sanctum or temple pagoda. However, the stone pagoda was destroyed in 1782 due to large fire with much missing part, blistering and scaling. In the restoration process in the 19th century, it was interpreted that gilt bronze pagoda was built at the upper part of the stone pago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