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광주유수부의 남한산성 재정운영 ―稅入항목을 중심으로 (In the 19-year, Gwangju-yusubu's Namhansanseong financial operati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1.12
42P 미리보기
19세기 광주유수부의 남한산성 재정운영 ―稅入항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76호 / 163 ~ 204페이지
    · 저자명 : 조낙영

    초록

    정조 19년(1795) 광주부는 유수부로 승격된 것을 계기로 일원적인 방어체계 아래에서 서울 외곽의 방비를 책임지는 군사 요충지로 확립되었다. 수어청과 광주부의이원적인 관리체계 아래서는 효율적인 산성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정조 19년유수부의 성립은 체계적인 군사, 행정체계 뿐만 아니라 재정체계를 성립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전제가 되는 것이었다.
    광주 유수부의 재정 세입구조를 살펴보면 경기도 전역과 충청도, 황해도를 걸치는 광범위한 범위에 있는 군병들에게 거두는 군전세, 6도에 걸쳐있는 승려들에게 거두는 고승번전,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에 있는 유수부 소속둔전에게 거두는 둔세, 경상도, 충청도, 황해도와 평안도에서 운영되는 환곡모미를특징적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세입은 일반적인 지방관아의 재정구조와는 현격히다른 것이었다. 광주 유수부는 유수부 범위 내에 있는 전결의 전세나 군병들의 군전세를 수세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었다. 중앙의 호조, 병조, 선혜청으로 유입되어야 할 재원을 유수부가 이용하게 함으로써 서울 외곽의 방어기지를 운영할 수 있는 군사재정을 마련한 것이었다.
    이렇게 유수부가 거두어들인 재원들은 영고, 보장고, 보향고로 집중되었다. 이 중영고와 보장고는 유수부의 행정과 재정을 담당하는 다양한 기관들에게 재원을 분배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영고와 보장고의 지원이 없으면 여타 기관들의 운영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또한 영고, 보장고의 재정지원을 받은 여러 기구들은 마찬가지로여러 가지 명목으로 영고와 보장고에 그들의 재정을 지원하기도 했다. 유수부에 소속된 여러 행정․재정기구들은 긴밀한 재정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운영되었다. 반면보휼고는 직접 관원들에게 급료를 지급하는 역활만을 담당했으나 유수부를 운영하는 관리와 군관들에게 재원을 지급한다는 기능면에서는 영고와 보장고와 다를 바가없었다.

    영어초록

    In the 19-year reign of the King Jeongjo of Joseon, Gwangju-bu emerged a key military outpost on the outskirts of the capital city as it was elevated to 'yusub.' Until then, an efficient defense mechanism had yet to be guaranteed by previous dual management system for Namhansanseong co-handled by two governmental agencies Sucheong and Gwangju-bu.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launch of yusubu implied another systematic military and administrative mechanism for the Gwangju region. And it also constituted a vital requirement for the formation of fiscal system for Gwangju.
    The structure of Gwangju-yusubu's fiscal and taxation system can be characterized by military land tax levied on wide-ranging soldiers across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Hwanghae-do, Goseung-Beonjeon imposed on Buddhist monks across six 'do' areas (provinces), land tax on dunjeon under the control of yusubu in Gyeonggi-do, Gangwon-do,Hwanghae-do, Chungcheong-do, Gyeongsang-do, and Jeolla-do, and hwangok-momi enforced in Gyeongsang-do, Chungcheong-do, Hwanghae-do,Pyeongan-do. Gwangju-yusubu's taxation scheme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fiscal framework for a general byeongyeong (barrack). Gwangju-yusubu not only levied a land tax on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yusubu or a military land tax on soldiers but also appropriated part of tax revenues which should go to central governmental agencies: Hojo, Byeongjo, and Seonhyecheong. Consequently, it could secure its own military financing sources to operate an outlying defense base far away from the capital city, Hanyang.
    These fiscal revenues mainly converged on three fiscal agencies:Young-go, Bojang-go, and Bohyang-go. Young-go and Bojang-go undertook allocation of financial resources to those entities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ffairs of Gwangju-yusubu. The remaining organizations couldn't be operated without the support of Young-go and Bojang-go.
    Conversely, these organizations also provided financial support for Young-go and Bojang-go on various grounds. A se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genc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yusubu were closely intertwined with one another via a solid financial network. By contrast, Bohyang-go played a simple role in direct allocation of wages to yusubu officials. Given such financial allocation to officials and officers engaged in the operation of yusubu, however, Bohyang-go's function shows little difference compared with Young-go and Bojang-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