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冥界의 심판·응보 일화를 통해 본 宋代의 夫妾 관계 (The Husband-Concubine Relationship in the Song Period as Seen Through the Narratives of Judgment and Retribution in the Underworl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5.02
40P 미리보기
冥界의 심판·응보 일화를 통해 본 宋代의 夫妾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93호 / 331 ~ 370페이지
    · 저자명 : 최해별

    초록

    이 연구는 『夷堅志』의 妾과 관련된 일화를 유형화하고 그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妾 또는 夫妾 관계에 대한 송대 사회의 가치 지향과 사회 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송대 첩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졌는데, 주로 법제사적 측면에서 가정 내 첩의 지위나 의무와 역할을 규명했고, 또 생활사적 측면에서 가정 내 첩의 생활과 처지 등을 상세히 복원하였다. 이 논문은 현실 세계에서의 첩의 지위나 생활 보다는 『이견지』 내 冥界의 심판과 응보 일화를 분석하여 이에 반영된 이상적 가족 질서에 대한 송대 사회의 가치 지향과 사회 구성원의 인식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유형화된 서사구조에 반영된 夫, 妻, 妾 각 주체의 제한된 입지를 분석하였다.
    『이견지』에 등장하는 부첩 관련 일화는 몇 가지의 서사 유형으로 나뉜다. 부부관계의 지조를 지키지 못하거나 良家의 딸을 함부로 첩으로 들인 士人을 향한 경고, 아랫 사람인 妾과 婢를 학대하고 죽인 本妻에 대한 심판, 남편의 변심에 달리 선택지가 없었던 첩의 저항 등. 이들 유형화된 일화는 송대 사회가 첩을 둘러싸고 겪은 갈등과 해결의 과정을 보여주며, 때론 명계의 심판을 통해 때론 원혼의 복수나 죽음 등의 응보를 통해 송대 사회가 공유했던 가치와 민중의 암묵적 동의 등을 보여준다.
    士人에게 요구되었던 것은 결국 예에 맞는 부부관계의 성립과 유지였다. 때로는 부부간의 의리를 지킴으로써, 때로는 양가의 딸을 함부로 첩으로 삼지 않음으로써 사회의 안정을 꾀하게 하였다. 이는 ‘부부 중심의 가족질서’를 유지하라는 治者의 의지이자 사회적 요청이었다. 妻에게는 첩에 대해 너그럽고 인자한 태도를 요구했다. 남편에 대한 투기 자체를 비판하기 보다는 투기로 인한 학대나 살인 자체에 대한 심판과 처벌이 강조되었다. 이는 본처의 첩에 대한 학대나 살인에 대해 제대로 처벌이 어려웠던 현실에 대한 당시 사회의 비판적 정서가 담긴 것이다. 남편의 변심이나 포악에 달리 선택지가 없었던 첩은 자살을 하여 귀신이 되거나 남편을 독살하거나 등 잔인한 모습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었는데, 이 자체가 현실에서의 첩의 제한적 입지를 보여준다. 또한 첩의 저항에 남편은 죽음으로 불행한 결말을 맞는데, 이는 함부로 첩을 들인 남편이 겪어야 할 응보였다.
    『이견지』에 등장하는 부첩 관련 일화의 유형과 인과응보의 결말을 살펴보니, 송대 첩을 둘러싼 갈등 구조와 각 주체의 제한적 위치 그리고 이들에게 요구된 사회적 요청이나 또는 배제를 엿볼 수 있었다. 부부 중심의 가족질서를 중시하는 사회적 지향과 사인에게 강요된 지조, 첩에 대한 본처의 학대 행위에 대해 통제와 처벌을 원하는 사회적 요구, 남편의 변심에 달리 방법이 없었던 첩의 제한된 처지와 저항 등이 명계의 심판과 응보의 장치 속에 여실히 드러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ategorizes anecdotes related to concubines in Yijianzhi(夷堅志) and analyzes their narrative structures to examine the societal value orientation of the Song Period and the perceptions of people regarding concubines or husband-concubine relationships. Research on concubines in the Song Period has been actively conducted, primarily focusing on their legal status, obligations, and roles within the household from a legal history perspective, as well as reconstructing their daily lives and social positions from a social history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the common people and the socially formed implicit agreements surrounding concubine and husband-concubine relationships in the Song Period, utilizing anecdotes of judgment and retribution in the underworld within Yijianzhi. Furthermore, it analyzes the limited positions of the husband, wife, and concubine as represented in the typified narrative structures.
    The anecdotes in Yijianzhi(夷堅志) related to concubines and their husbands can be categorized into several narrative types. These include warnings against literati(士人) who fail to uphold marital fidelity or recklessly take daughters from liangjia(良家) as concubines, judgments against primary wives(本妻) who abuse or kill their concubines or maidservants, and cases of concubines resisting their husbands when left with no other options due to their husbands’ change of heart. These recurring narrative patterns illustrate the conflicts surrounding concubines and the processes of resolution in Song Period, often through judgment of the underworld or karmic retribution in the form of death.
    Ultimately, what was expected of literati(士人) was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proper marital relationships in accordance with societal norms. By remaining faithful to their wives or refraining from taking concubines from liangjia(良家), they contributed to social stability, aligning with “the rulers(治者)” intention and societal expectations of maintaining a "family order centered on the primary couple." Primary wives(本妻) were expected to be tolerant and benevolent toward concubines. Rather than condemning jealousy itself, the focus was on punishing the abuse or murder of concubines resulting from jealousy. This reflects the social sentiment of the time, criticizing the reality that punishing primary wives for such actions was often difficult. For concubines, who had no alternative means of resistance against their husband’s betrayal or cruelty, their only options were suicide and becoming vengeful spirits or taking extreme measures such as poisoning their husbands. This highlights the restricted position of concubines in reality. Moreover, the husbands who indiscriminately took concubines often met tragic ends, reinforcing the notion that such actions would lead to retribution.
    By analyzing the narrative patterns and themes of karmic retribution in Yijianzhi(夷堅志), this study reveals the conflict structures surrounding concubines in the Song Period, the limited positions of the individuals involved, and the social expectations or exclusions imposed upon them. The societal demand for literati to maintain marital fidelity and to refrain from taking concubines from liangjia(良家), the societal demand for control and punishment of the primary wife's abuse of concubines, and the restricted agency of concubines who had no recourse against their husband's betrayal are all vividly illustrated through judgment of the underworld and karmic retribution in these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