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상신본풀이 전승 양상-부대각과 양이목사본을 중심으로 (The transmission aspects of and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9.02
38P 미리보기
조상신본풀이 전승 양상-부대각과 양이목사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속학 / 38호 / 113 ~ 150페이지
    · 저자명 : 류진옥

    초록

    이 글은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중 <부대각본>과 <양이목사본>의 전승 양상을 견주어보는 과정을 통해 구비 전승의 흡인력과 엄정함이라는 특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양창보심방의 <부대각본>과 안사인심방의 <양이목사본>을 중심 자료로 정하고, 이와 함께 필자가 조사한 故부하봉씨의 ‘부대각 전설’에 관한「手記本」자료를 살펴보았다.
    두 본풀이는 주제적인 면에서 제주도와 중앙 권력과의 관계를 다루며, 조상신 유형 중 동일하게 혈연 조상의 성격을 갖는 ‘실패담’으로 구분된다. 또한 두 본풀이에서 조상신으로 모셔지는 대상인 ‘부대각’과 ‘양이목사’는 역사적 실존 인물로 추정된다. 이러하듯 다양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부대각본>의 내용은 무가(巫歌)와 전설(傳說)로 전도적(全島的)인 차원에서 다양하게 전승하는 반면, <양이목사본>의 경우는 상당히 한정적인 전승을 보이고 있다. 이 글은 양창보심방이 구연한 <부대각본>의 경우는 현재까지도 전승하는 ‘부대각 전설’의 다양한 화소를 수용하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라는 점을 정리하였다. 이는 구비 전승에 있어서 각 장르 간 상호 교류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며, 이 설화가 갖는 주제와 서사가 전승 집단에 의해 충분히 공감되었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보았다. 또한 故부하봉씨의「手記本」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 자료가 제주굿에서 구연되던 본풀이를 바탕으로 기록되었을 가능성을 추적하였다. 반면 <양이목사본>의 경우, 서사와 화소, 인물 등의 측면에서 전승 집단의 충분한 공감보다는 <부대각본>의 일방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with that of <The Budaegak Bonpuri> and <The governor of Jeju province, Yangyi Bonpuri> in the Josangsin Bonpuri (Ancestral God Faith Mythology) of Jeju Island Shamanism. To this end, this study focus on <The Budaegak Bonpuri> of ‘Yangchangbo’ Simhang(which means a shamanism preist), <The governor of Jeju province, Yangyi Bonpuri> of ‘Ansain’ Simbang and “the handwritten document” about <The Budaegak legends> of the late Mr. Buhabong that I researched. The two bonpuris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Jeju Island and central power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are categorized as ‘failure-originated type’ that have the blood relative ancestors characteristics as those of the ancestral gods. In addition, ‘the Budaegak’ and ‘the governor of Jeju province, Yangyi’ which are objects to be deified as ancestral god, are assumed to be historical existent persons. Despite such diverse similarities, <The Budaegak Bonpuri> is handed down variously from ‘the ancestral god faith mythology’ and legends to the whole island, while <The governor of Jeju province, Yangyi Bonpuri> shows fairly limited transmission.
    <The Budaegak Bonpuri> of ‘Yangchangbo’ Simhang was probably formed by accommodating various motifs of <The Budaegak legends>, which still prevails to this time. This is a good example of interplay between different genres in the oral transmission and reflected that the theme and narrative of this story fully empathized by the tradition group. And this article traced the possibility that “the handwritten document” of the late Mr. Buhabong was formed based on the Bonpuri which was practiced in the Jeju rite(the Gu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overnor of Jeju province, Yangyi Bonpuri>, based on the narrative, motif, and character,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it was formed by the unilateral influence of <The Budaegak Bonpuri> rather than the sufficient empathy of the tradition group.
    This article aims to find one aspect of the attraction and strictness of the oral transmission, comparing the different transmission patterns of the two Bonpur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