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帝下 群山府에서 住民의 移動事情과 階層分化의 양상 (The Human Migration Patterns and the Aspect of Social Stratification in Kunsan Prefecture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09.11
54P 미리보기
日帝下 群山府에서 住民의 移動事情과 階層分化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35호 / 3 ~ 56페이지
    · 저자명 : 김태웅

    초록

    군산부는 1899년 개항을 거쳐 일제의 강점 아래 農工分業體制에 편제된 가운데 미곡 생산 지대를 배후지로 삼고 이에 기반하여 급속하게 성장한 도시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많은 조선인들과 일본인들이 전입하거나 이주해 왔다. 이들 공히 출신지에서 경제적으로 압출된 나머지 사업투자형 이주 형태보다는 생계형 이주 형태를 보였다. 아울러 일본인 대다수는 人的·地域的 緣網에 근간하여 정착하였고 성장 기반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주·자본가 출신 일본인의 경우, 일본 정부의 적극적인 척식정책에 힘입어 농장을 설립하여 미곡 생산과 무역의 독점적 주체로 떠올랐다.
    이어서 1920년대 産米增殖計劃의 실시에 따라 군산의 미곡 이출량이 급증하면서 일본인 지주는 물론 일본인 소상공인들도 경기의 호황과 이미 확보해 두었던 緣網을 활용하여 상류층으로 상승할 수 있었다. 반면에 전입 조선인들은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생계형 전입에서 나오는 취약성을 견디지 못해 부분적인 계층 상승에 머물거나 오히려 하락하였다. 아울러 일제하 고용구조 아래 민족별 임금 차별을 감수하는 현실에서 조선인들의 대다수는 일용직, 하급노동자, 부두하역 노동자 등 사회하류층으로서 생계를 이어나갔다.
    군산부 계층 구조의 이러한 민족별 양극화는 1930년대 미곡통제법의 시행에서 볼 수 있듯이 일제하 지주제의 모순과 연계되면서 극에 달했다. 즉 배후지 농촌에서 전입하는 조선인 소작농과 부랑 세대는 군산부 조선인 노동시장을 위축시키는 동시에 失業率의 증가를 비롯한 각종 도시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 중 土幕民이 급속하게 증가함으로써 도시 총인구 대비 土幕民의 비율이 전국에서 최고일 정도였다.
    이에 군산부와 일본인 유력자들은 군산 지역의 불황에서 그 이유를 구한 가운데 군산의 공업화 전략이라든가 미곡통제법의 완화를 통해 이 문제를 해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제하 지주제와 농공분업체제가 조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방책들은 임시고육책에 지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군산부의 조선인 노동력을 여타 공업 지대로 송출시킴으로써 실업 문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兵站基地化에 필요한 노동력을 공급하고자 하였다. 군산부 조선인들의 또 다른 이동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는 ‘강요된 이동’이었고 궁극적으로는 일제의 침략 전쟁에 동원되는 형태로 이어졌다.
    결국 일제하 지주제와 농공분업체제의 모순은 이들 양 제도가 상호 결합되어 있었던 군산 지역의 조선인 주민들에게 전가된 셈이다. 반면에 군산부에서 경제적․사회적 기반을 확고하게 구축한 일본인들은 일본자본주의 체제의 동요에도 불구하고 이런 기반을 상실하지 않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both the trajectory of human migration and its consequent social stratification in Kunsan Prefecture(群山府) from the opening of Kunsan port in 1899 to the end of Japanese Imperial rule in 1945. To date, most of the studies on this field have represented limitations both in terms of time span and the subjects. Unlike the previous literature, this paper expands the scope of time and subjects by including not only the human migration patters of Japanese during the period of port opening and Japanese early imperial rule, but also migration of Koreans and Japanese from 1899 to 1945.
    After the port opening in 1899, Kunsan Prefecture, possessing a large adjacent area of rice production, was characterized by its raid growth based on rice exportation. This feature was gained as a result of the Japanese policy that enforced Kunsan to be incorporated into the specializa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y for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This policy caused a massive human migration of both Koreans and Japanese who possessed commonality in that their immigration was economically driven, thereby characterizing the immigration as the subsistence type rather than the entrepreneur type. In contrast to Korean immigrants, however, due to the personal and regional networks most of the Japanese could both enjoy successful settling down in their new settlement and obtain the basis for future prosperity. Moreover, Japanese immigrants who had been landowners and capitalists in Japan claimed a monopoly, supported by the aggressive colonization policy, on the production and trade of rice by constructing large farms. These Japanese supported other Japanese immigrants to Kunsan through the personal and regional ties.
    During the 1920s, the enforcement of the Increasing Rice Production Policy(産米增殖計劃) widened this economic and social gap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As the rice exports from Kunsan port were drastically augmented, both the Japanese landlords and Japanese small merchants and industrialists could, due to their existing networks, enjoy the regional economic boom, thereby successfully ascending into the upper classes in the Kunsan society. In sharp contrast to these Japanese, Korean immigrants, who suffered the vulnerability stemming from their subsistence migration type, could enjoy merely minor upward economic and social mobility at best; most of them experienced downward mobility.
    This polarization of Kunsan residents based on nationality culminated when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landlord system under the Japanese imperial rule were revealed. As the Rice Control Act(米穀統制法) in the 1930s was promulgated, Korean tenant farmers and vagabonds from rural areas surrounding Kunsan caused an oversupply of labor force in the labor market, thus creating a variety of urban problems including rapid increase in unemployment rate. These Korean immigrants, relegated to unemployed workers and inhabitants of shanty town, made Kunsan Prefecture record the hight rate of shanty town inhabitants in Korea.
    To address this problem, the Kunsan Prefecture authorities and Japanese power elites in the region tried to invent new policies such as industrialization strategy and the limited implement of the Rice Control Act. However, under the Japanese imperial rule's overall design of landlord system and specialization of agricul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these measures were mere temporal policies. The new solution was sending the Korean workers in the Prefecture to other industrial cities both in order to alleviate unemployment rate in Kunsan and to provide labor force with the cities that were being industrialized under the supply base policy. Thus, Korean immigrants to Kunsan were forced to immigrate again to other regions. This enforced human migration was ultimately aimed at the mobilization of Korean labor force for the Japanese wars against the neighboring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