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교회 청년부 신앙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인 모색 (A Christian Educational Exploration for the Faith of the Youth Ministry in the Korean Churc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09
33P 미리보기
한국교회 청년부 신앙을 위한 기독교 교육적인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91호 / 449 ~ 481페이지
    · 저자명 : 강문규

    초록

    21세기 현대 한국교회는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포함한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성장이 침체되어있다. 한국의 개신교는 전반적인 부분에서 많은 변화의 영향을 받으면서 어려움에 직면해 있고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이에 대한 원인은 청년들의 교회 이탈 현상을 꼽을 수 있으며, 20-30대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 현상은 교회에서 이어지는 각 세대의 연결고리가 끊어지는 불안감을 조성하고 앞으로의 비전을 암울하게 만들고 있다. 교회들은 청년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청년들에게 투자하며 그들의 입맛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상황을 타개하기를 바라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이전에 비하면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이에 대한 다음과 같은 원초적인 문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교회의 지도자들은 과연 청년들이 그들의 시기에 고민하고 갈등하는 문제에 대하여 얼마나 깊이 인식하고 이해하고 거기에 대한 실제적인 대안을 마련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한국교회는 그들이 진행하는 지원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속화 되어 가는 청년들의 이탈 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 자신할 수 있는가? 위에서 언급했던 의문들과 함께 본 연구자는 그들을 다시 교회로 불러들이고 청년부를 부흥시켜 침체기에 있는 개신교회를 증진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으로 그들의 신앙회복과 신앙의 성숙을 위해 기독교 교육적인 모색이 필요하다고 사료 된다. 인간의 구원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기독교 신앙은 하나님의 주권하에 이루어지는 은혜인 것은 맞으나 자동적이고 기계적으로 그리고 형식적으로 편성되는 도식화가 아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믿음은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교회 청년부 신자들은 기나긴 삶의 여정에서 다양한 일들을 경험하며 성숙한 신앙의 길로 접어든다. 그러므로 교회는 그들을 성경 말씀으로 가르치고 양육하여, 이들이 하나님 백성의 역할을 실제적이고 현실적으로 감당할 수 있게 신앙의 정립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청년들이 교회를 이탈하면서 쇠락기에 있는 청년부를 신앙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기독교 교육적인 모색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필자는 교회 청년들이 한국 사회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을 규명하는 동시에 기독교 교육적인 입장에서 임팩트(impact) 있는 신앙교육으로 그들의 신앙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 논문을 통하여 교회의 신앙에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는 한국교회 청년부가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modern Korean church of the 21st century is experiencing stagnation in growth due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nation's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llenges.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is facing difficulties as it undergoes significant changes across the board and has entered a period of decline.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is decline is the phenomenon of young people leaving the church, which is particularly pronounced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is trend is creating a sense of unease within the church as the generational connections are disrupted, casting a bleak outlook for the future vision of the church. In response, many churches are focusing on the youth, investing in them, and developing programs tailored to their preferences in an effort to address this situation. While these efforts are more positive than previous attempts, they rais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How deeply do church leaders truly understand the struggles and conflicts that young people face during this stage of their lives, and how prepared are they to provide practical solutions?" and "Can the Korean church confidently say that the support and programs it offers will effectively halt the accelerating exodus of young people?" Considering these quest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a fundamental approach is necessary to bring these young people back to the church, revitalize the youth ministry, and strengthen and develop the Protestant Church during this period of stagnation. It is essential to focus on the restoration and maturity of their faith through Christian education. Although Christian faith, which is inseparable from human salvation, is indeed a grace granted under God's sovereignty, it should not be treated as something that is automatically or mechanically systematized. The faith described in the Bible encompasses much more. Members of the church's youth ministry experience various events throughout their long life journey and gradually walk the path of mature faith. Therefore, the church must teach and nurture them with the Word of God, helping them establish a solid faith foundation so they can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fulfill their role as God's people. This paper proposes a Christian educational approach to study the faith of the youth ministry, which is in decline as young people leave the church. The author aims to clarify the reality faced by church youth in Korean society while seeking to promote their faith through impactful Christian educat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rough this paper, it is hoped that the youth ministry of the Korean church, which is currently experiencing confusion and conflict in its faith, will be revital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