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être + participe passé’에 관한 연구 - 생성 어휘부 이론을 중심으로 - (Une étude des formes en ≪être + participe passé≫: Basée sur la théorie du Lexique Génératif)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1.09
27P 미리보기
‘être + participe passé’에 관한 연구 - 생성 어휘부 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 문화 연구 / 50권 / 1호 / 289 ~ 315페이지
    · 저자명 : 최윤희

    초록

    전통문법에서 ‘être + participe passé’의 형태는 타동사의 수동태(la voix passive) 또는 일부 자동사나 대명동사의 복합과거(le passé composé)를 표현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예문 (1a-b)와 (2a-c)는 각각 수동태와 복합과거의 예이다.
    (1) a. Le coupable est arrêté. b. Le coupable est recherché.
    (2) a. Il est parti depuis trois jours. b. Il est parti à 15h. c. Il s’est rasé. (예문 (1a-b), (2a) Creissels 2000)

    그러나 Frege의 합성성의 원칙을 고려했을 때, 수동태와 복합과거에 나타나는 ‘형태적 동일성은 의미적 동일성을 가질 것이다’라는 점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의미적 동일성을 밝히고자 시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être + participe passé’가 상적 가치(valeur aspectuelle)와 논항 구조(structure argumentale)를 표현하다고 분석한 관점을 채택하고, 기존 연구에서 미해결된 문제를 생성 어휘부 이론에서 제시한 ‘사건 구조’, ‘특질 구조’, ‘공동 합성’의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a pour but de déterminer la signification unitaire des formes en « être + participe passé », grammaticalement analysées comme le passé composé ou la forme passive. On accepte le point de vue selon lequel elles seraient un marqueur d’aspect et de structure argumentale (Buchard et Carlier 2008; Carlier 2002; Lagae 2005; Sorace 2000), mais on le développe aussi en adoptant la théorie du Lexique Génératif (Pustejovsky 1995). Cette théorie explique les aspects et la structure argumentale des verbes par la structure événementielle composée de sous-événements (processus et état) et la notion de « la tête » qui indiquerait l’événement le plus saillant.
    Nous illustrons le marqueur d’aspect en montrant que la valeur aspectuelle : la forme « être + participe passé » des verbes [+téilque], soit la forme passive des verbes transitifs, soit le participe passé des verbes inaccusatifs, a tendance à exprimer l’aspect accompli(action terminée ou état résultatif) car ils nécessitent que « la tête » prenne l’état de sous-événements. Cependant, la forme « être + participe passé » peut aussi véhiculer des variantes aspectuelles sous l’effet de la structure de qualia ou en faisant objet de « co-composition ».
    En ce qui concerne la structure argumentale, on souligne que les verbes à renversement « causatifs/inaccusatifs » à la forme « être + participe passé » peuvent être qualifiés de « sans tête » et qu’ils apportent une notion de « reflexivization » (Chierchia 2004). De plus, on remarque que les verbes pronominaux inaccusatifs diffèrent non seulement de « reflexivization » des verbes transitifs, mais aussi de la forme passive des verbes transitifs en ce que le facteur causant en verbes pronominaux est un état plutôt qu’une a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 문화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