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한성부(漢城府)의 사법 행정과 역할 (Jusicial Administration and Role of Hanseongbu(漢城府) in 18th~19th Centu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0.06
32P 미리보기
18~19세기 한성부(漢城府)의 사법 행정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58호 / 37 ~ 68페이지
    · 저자명 : 유승희

    초록

    본 논문은 18~19세기 한성부의 사법행정 및 법사로서 한성부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한성부의 조직구성은 18세기 이후 변함이 없으나 19세기말 형조에서 차정된 검률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사송업무에 있어 조율의 정확성을 꾀했다. 하지만 사송의 적체를 방지하기 위해 실시한 한성부 낭청의 구임제나 관원의 고과(考課)와 관련된 결등공사의 입계 및 결송도수의 이첩 등이 폐지되고 관원의 해이해진 근무 상황에 대한 국가의 관리강화가 나타나고 있어 19세기 한성부의 법사 운영이 원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성부의 사법 업무 중 가장 핵심은 입안 발급 및 소송의 판결이다. 한성부의 경우 6방의 방장들이 맡은 고유 임무가 있으나 입안발급 및 산송관련 상언에 대한 회계 처리 등 주요 사법업무는 낭청 전원이 담당하였다. 사송관사로서 한성부는 지방민에게는 상급관사의 역할을, 서울 방민에게는 일반 지역법사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한성부는 전택 소송만을 전담하는 관사에서 18세기이후 전택, 노비, 산송에 관한 전국적인 재판권을 행사하며 중앙법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경외사송을 함께 담당한 형조와는 정2품아문으로 동일하며, 사송에 있어서 오늘날의 심급과 같은 법사 간 위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런 의미에서 18세기 이후 한성부 사송직무의 확장은 법사로서의 한성부의 지위를 더욱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편, 한성부는 오부와 함께 서울지역 사송을 총괄하는 지역법사의 역할도 하였다. 오부의 경우 한성부와 달리 소송에 제한을 두었기 때문에 법사로 인식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18세기 후반 정부가 오부를 종5품아문으로 올리면서 법사로서의 조직을 강화시켜 나가자 19세기이후 사법 업무에 대한 오부의 월권이 계속 문제시 되었다. 이처럼 전국의 사송을 주관하는 중앙법사이자 서울 내 분쟁을 판결하는 지역법사라는 한성부의 이중성은 다른 법사와 차별성을 가지는 것으로 한성부만의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reviews the role of Hanseongbu as the judicial administration and legal affairs of Hanseongbu during the 18th~19th century.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Hanseongbu has no change after the 18th century, but it additionally arranged the Geomryul(檢律) that was appointed by the Hyeongjo(刑曹)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or the accuracy in legal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litigation affairs. However, the long-serving institution of Nangcheong(郎廳), reports of number of decisions in lawsuits and number of final adjudications, and others of Hanseongbu that were implemented in order to prevent any accumulation for litigation were repealed and the national control on lackadaisical work status of the government employees was shown that the judicial affairs of Hanseongbu during the 19th century was not flawlessly undertaken.
    The critical part from the judicial affairs of Hanseongbu was the issuance of legislation and decisions of litigations. For Hanseongbu, main works of issuance of legislation and processing on litigation over tombs and land related pleading were undertaken by entire members of Nangcheong. Hanseongbu had the government office that was exclusively in charge of land and family residences to exercise the nationwide adjudicative rights on slaves and cemetery after the 18th century to carry out the role as the central legal affairs. The Hyeongjo that was in charge of the nationwide litigations did not show the hierarchical system between the legal affairs like the deliberations of today.
    In this implication, the expansion of the litigation field in Hanseongbu after the 18th century brought the result of even more heightening effect of the status for Hanseongbu. In addition, Hanseongbu was compared to the local provincial governor(觀察使) with the Obu(五部) as local administrator(守令), but Hanseongbu did not have the jurisdiction over penal code compared to the local provincial governor that it had the greater role as the government offices on litigation. For the case of counties and prefectures the receipt of governor carried out the judicial affairs through certain level of hierarchical system, but for the case of Seoul, the judicial hierarchical system of Obu-Hanseongbu could be found in the local litigation matters, but it was not found between Hanseongbu and Hyeong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