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 서사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Concerning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Korean Modern Novel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8.06
24P 미리보기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 서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어문 / 77호 / 303 ~ 326페이지
    · 저자명 : 김소륜

    초록

    본 논문은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일본군 ‘위안부’ 서사의 계보를 탐색하는데초점을 두고 있다. 우선, 해방 직후 발표된 작품으로는 엄흥섭의 「귀환일기」 (1946), 장덕조의 「함성」(1947), 박용구의 「함락직전」을 분석하였다. 이때 소설 속에 그려진 위안소와 정신대 징집에 관한 묘사는 일본군 ‘위안부’의 동원이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증명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다음으로는 한국문학 내에서 일본군 ‘위안부’ 서사를 전면적으로 다룬 최초의 작품인 윤정모의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1982)를 살펴보았다. 그 속에서는 풍문으로만 떠돌던 피해 여성이 직접적으로 발화를 시도하고 있음이 주목되었다.
    그러나 이때의 발화는 피해 여성의 내적 회복과는 무관한, 남성의 정체성을 확립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 제한되고 있음이 지적된다. 마지막으로 2000년대 이후 작품으로는 고혜정의 금빛 날개를 타고 (2006)와 김숨의 한 명 (2016)을 살펴보았다. 두 작품 모두 기존의 일본군 ‘위안부’ 서사에서 보여준, 민족주의적 차원의 논의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무엇보다 피해자라는 수동적인 이미지를 벗고, 스스로는 물론 타자를 위무(慰撫)하는 서사로 확장될 근거를 제시했다는 것이 주목할 지점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searching the genealogy of the narrative concerning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Korean modern novels. First of all, the works that were publish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alyzed Eum, Heung-seop’s novel, “A Return Diary” (1946), Jang, Deok-jo’s novel “A shout” (1947), and Park, Yonggu’s novel “Just before defeat”.At that time, the portrayals of brothels and forced conscription drawn in the novels are meaningful in that the mobiliza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s the evidence of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t the state level. Further attention was paid to Yoon, Jung Mo’s novel, “Mother’s name was Cho-Sen Ppi” (1982), which was the first narrative concerning the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Korean literature. It is also noticed that the direct utterance of the female victim treated as rumors has been novelized.
    However, the direct utterance of the female victim has not been related to the internal recovery of the victim but has been restrictively employed to establishing the male identity. Lastly, since 2000, I have analyzed Go, Hye-jeong’s novel, “Fly with the Golden Wings” (2006) and Kim, Sum’s novel, “One Person” (2016).Both of these work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ceed the level of the nationalist dimension, which has been shown in the existing narratives concerning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y remove passive images of the victim and provide a basis for an expansion of the narratives to console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어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