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다의 언어와 저자 부재설 논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Vedic Language and its Controversy surrounding the Absence of Authorship)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6.06
25P 미리보기
베다의 언어와 저자 부재설 논쟁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26호 / 117 ~ 141페이지
    · 저자명 : 김유리

    초록

    본 논문은 인도철학에서 활발한 논쟁의 주제였던 베다의 저자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논쟁을 개괄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베다의 저자 부재설 논쟁은 베다가 주는 최종적 의미나 그 메시지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에 대해서 오랫동안 많은 이견이 있었다.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정통 학파와 그렇지 않는 비정통 학파 사이 뿐 아니라 정통 학파 내부에서도 다양한 견해를 갖는다.
    먼저 베다의 권위를 인정하는 인도의 정통 학파에서 특히 베다 문헌에 직접적으로 근거하는 미망사와 베단타 학파는, 저자부재설 논쟁에 주로 참여하여 그들의 해석 대상이 되고 있던 베다를 사람이나 신에 의한 인위적인 저작이 아니라 베다 그 자체가 영원한 진리로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반대로 정통 학파 내에서 독립적 근거에 기초 하는 니야야-바이셰쉬카, 상키야, 요가 학파들은 저자가 없는 문헌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초기 나야야 학파는 베다의 원작자를 볼 수 없는 현실을 직접적으로 인식(지각)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갖춘 고대의 성현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후대의 니야야와 바이셰쉬카 학파는 그것이 신(īśvara)에서 기인한 것으로 간주했다.
    비정통 학파는 베다의 권위를 부정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권위성의 입증문제가 처음부터 중요하지 않았고 그 권위의 주체 문제도 달리 상정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쟁에 참여한 학파들의 견해를 전하면서, 구체적으로 세 부류의 견해를 서술하면서 베다와 불교경전의 공통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ajor topic of discussion in Indian Philosophy, which is the argument around if the Veda has an author or not. The absence of the Veda's author has created a prolonged disagreement about the Veda's final message or where it has originated. Not only between the traditional schools that acknowledges the Veda's authority and non-traditional schools, but also even within the traditional schools, there are difference in opinion about this topic.
    First of all, among the members of the traditional schools that acknowledges the Veda's authority, Mimamsa and Vedanta that base their argument within the text of the Veda, views the Veda-the target of their interpretation-as the existing element of truth that is not artificial writing of humans or gods. On the other hand, Nyaya-Vaisesika, Samkhya, and Yoga schools that are member of traditional school but base their argument on independent grounds, claim that there is no literature without an author. The early Nyaya School called the original author of the Veda as the ancient saint who possessed a special ability to directly perceive imperceptive reality. The later Nyaya and Vaisesika school regarded it as having originated from god( isvara).
    Since the non-traditional schools were in a position of denying the Veda's authority, the issue of verifying the authority was not important from the beginning and the issue surrounding the principal agent of authority was regarded with different assumptions. The author introduces the difference in opinion among the schools that engaged in this discussion, describes especially the three different arguments in detail and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eda and the Buddhist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