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기 동계 영역의 변동과 도호부의 이동 (The Changing of Donggye(東界, Eastern Border) Territory andthe Movement of Dohobu in the Goryeo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3.05
27P 미리보기
고려시기 동계 영역의 변동과 도호부의 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7호 / 241 ~ 267페이지
    · 저자명 : 이정기

    초록

    고려시기 東界는 北界와 함께 건국 후 영역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영역의 변동이 확인되는 유일한 지역이다. 특히, 동계는 고려 초부터 영토를 확보해나가면서 성종 14년과 현종 9년의 지방제도 편제를 통해 영역이 설정되었으며, 이렇게 확정된 영역은 상당한 기간 동안 유지되었다. 이후 몽고의 침입과 원의 雙城摠管府 설치로 기존 동계 영역의 상부에 대한 관할권을 잃게 되었으며, 다시 공민왕이 雙城의 땅을 수복하고 새로운 땅을 개척하면서 기존 동계 영역뿐만 아니라 북쪽으로 꽤 넓은 영토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영역의 변동과정과 함께 주목되는 것이 바로 都護府의 이동이다.
    동계는 크게 4단계에 걸쳐 영역의 변동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변동 때마다 도호부의 이동과 설치가 이루어졌다. 성종 14년에 和州에 安邊都護府가 설치되었고, 현종 9년에 登州로 안변도호부가 이동하면서 이전 도호부의 치소였던 화주는 防禦使로 읍격이 조정되었다. 또한 쌍성총관부의 설치로 도호부가 있었던 두 곳이 모두 원의 관할 아래 들어가게 되자 그 하부를 중심으로 동계가 설정되고 원종 원년 溟州에 慶興都護府가 설치되었다. 경흥도호부는 공신 관향의 이유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원종 9년 공신 취소와 함께 승격된 도호부도 취소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명주의 위상이나 이후 명주의 향방을 통해 봤을 때, 쌍성이 회복되기 이전까지 도호부로서의 위상을 유지했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쌍성을 회복하고 북쪽의 영토를 확보한 후 동계는 朔方道와 江陵道로 분리․운영되면서 강릉도에는 기존의 명주에, 삭방도에는 定州에 도호부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이렇게 동계의 영역이 변동함에 따라 시기적으로 맞물려 도호부도 함께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계의 중심부가 도호부였으며, 도호부를 중심으로 동계가 운영되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호부의 이동을 통해 지형적인 결함을 가진 동계가 점차 합리적인 운영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각 도호부 설치의 목적을 통해 이러한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먼저 화주에 설치되었던 안변도호부는 초기 영토 확장의 결과물로, 군사적인 목적을 띠고 주요한 거점의 역할을 한 곳이다. 당시 화주는 영토 확장 방향의 끝에 위치하여 국경의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등주에 설치되었던 안변도호부는 이전보다 확대된 영토를 반영하면서 아래도 상당히 내려오게 된다. 이는 동계 하부인 바닷가를 따라 줄지어 있는 주진현에도 영향력이 미칠 수 있도록 한 조치인데, 효과적인 지방 지배를 위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대신 지형적으로 도호부의 관할 범위가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없었기 때문에 가장 합리적인 위치에 설정하면서, 동계 하부는 주․속현 체제로 이를 보완하였다. 세 번째 명주는 쌍성총관부를 제외한 동계에서 가장 합리적인 위치와 위상에 걸맞게 설치되었다. 기존에 비해 매우 좁아진 동계이지만, 가장 효과적인 지배 구조를 재구성하고자 하였고 이는 역시 도호부 중심의 운영 체계가 갖는 안정성을 담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정주는 삭방도와 강릉도로 분리․운영되는 상황에서 확대된 영역에 맞게 삭방도에 설치되고, 강릉도에는 명주가 도호부의 위상을 지속하게 되는 형태이다. 이는 동계의 지형적 단점과 넓어진 영역을 모두 고려하여 설정된 합리적인 조치로 생각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als with the movement of Dohobu(都護府) on the changing of Donggye(東界) territory. We can check about the changing of Donggye territory during the Goryeo Dynasty. Also we can check about the movement of Dohobu, too. I think that these are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ing of Donggye territory and the movement of Dohobu.
    Donggye territory has been expanded with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14th year of King Sungjong(成宗)'s reign and 9th year of King Heonjong(顯宗)'s reign. Also Donggye territory has been reduced owing to Yü․an. Because the Yü․an set up their office(Sangsungchongguanbu/雙城摠管府) in upper half of Donggye territory. But Donggye territory has been expanded in 5th year of King Gongmin(恭愍王)'s reign again. In short, Donggye territory was changed for four-steps. The Donggye's Dohobu moved along time with this four-steps, the moving path is Whaju(和州)→Dengju(登州)→Myungju(溟州)→Myungju+Jungju(定州).
    Each of Dohobu mean: Whaju means strategic point with military purpose, Dengju means an effective operation of expanded Donggye territory, Myungju means the best way for narrow Donggye territory, Myungju+Jungju means separated operation for Gangneungdo(江陵道) and sakbangdo(朔方道).
    The result implies that the Donggye was operated around Dohobu.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Donggye is a range of territory running north and south, the feature is difficult to operate. So the Goryeo Dynasty tried to operation through the movement of Dohobu. As a result, this methods of operation offered a reasonable s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