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제기 소설의 ‘경성’ 형상화와 ‘주변부’ 인식 (Figuration of ‘Kei-jo’ and cognition about ‘marginal areas’ in colonial ‘New Syste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04
31P 미리보기
신체제기 소설의 ‘경성’ 형상화와 ‘주변부’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52호 / 111 ~ 141페이지
    · 저자명 : 장성규

    초록

    본 논문은 신체제기 소설에 나타난 ‘경성’ 형상화를 고찰하고 이로부터당대 작가들의 경성 ‘주변부’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경성 형상화를 다룬 기존 연구들은 주로 식민지 수도 경성 ‘중심부’에 주목하면서 그근대적 성격을 규명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반면 이 과정에서 근대성의 문제로 환원될 수 없는 식민지 주변부의 일상을 복원하는 작업은 다소 간과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유진오, 박태원, 현덕의 작품에 대한 재조명을 시도했다.
    유진오에게 마포 지역은 식민 권력이 가시적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경성과는 달리 과거의 노스탤지어를 환기시키는 공간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마포 지역이 경성 외곽의 공업단지로 재편되면서 그의 노스탤지어는 훼손되며, 이는 곧 신체제에 대한 비판의식으로 표출되는 양상을 보인다. 박태원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직후 발표된 「애욕」을 통해 경성 도심부에 대한 고현학적 탐색을 ‘아현’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그는 경성 주변부에 대해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는 그의 독특한 식민지 고현학의 성과로 이어진다. 현덕은 경성시가지계획의 가장 직접적인 피해자인 토막민들의 삶을 ‘청량리구’를 중심으로 핍진하게 형상화한다. 나아가이 지역이 지니는 ‘식민지의 회색지대’적인 성격을 포착하고 있다는 점에서주목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본 논문은 신체제기 소설에 나타난 경성 주변부가지니는 함의를 규명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일련의 소설들은 이전 시기 소설에서 보기 어려운 식민지 수도 경성 이면의 다양한 양상들을 복원하는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서구적인 의미의 근대적 도시로 환원되지 않는 도시 주변부의 일상과 그 식민지적 회색지대의 성격을 포착한 점은 매우 중요한 문학적 성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siderate figurations of ‘Kei-jo’(Seoul) which appeared in fictions in the period of colonial ‘New System’ and to investigate cognition of writers of that time about ‘marginal areas’ of Kei-jo. Previous studies about this theme, focused on modernity of the core of Kei-jo and overlook daily-life in marginal area relatively.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study tries to cast light upon fictions of Yoo Jin-o, Park Tae-won and Hyun Deok.
    Yoo Jin-o regarded Ma-po area nostalgic space, as the core of Kei-jo exposed itself as visible colonial power. However, Ma-po being recostructed as an industrial complex, his nostalgia was damaged. And it was connected with his critical awareness against colonial ‘New System’. Meanwhile Park Tae-won moved his modernological research about the core of Kei-jo to A-hyun area in “Ae-yok”(Love and Lust). This helped him recognize daily-life in marginal area and achieve his unique colonial modernology. Hyun Deok described a life of the poor in Chung-ryang-li area who was direct victims of Kei-jo land development program. Moreover it is worthy of notice that he caught the features of ‘The colonial gray zone’ in this area.
    As above, these fictions in this period restored various aspects in marginal areas of Kei-jo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Kei-jo as a colonial center. Especially,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se fictions caught daily-life in marginal area and features of ‘The colonial gray z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