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정기 상무부의 기술교육위원회 활동 (Activities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within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of the USAMGI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12
30P 미리보기
미군정기 상무부의 기술교육위원회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역사문물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49호 / 221 ~ 250페이지
    · 저자명 : 김동선

    초록

    해방 이후 한국 공업 분야는 고급기술자는 물론 현장의 숙련노동자도 부족한 상태였다. 미군정은 안정적인 물자수급과 통치를 위해서 이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미군정은 단기기술교육을 통해 숙련공을 양성하는 기술교육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해방직후 이러한 정책을 수행한 기관은 주로 서울 중앙청에 위치한 상무부였다. 그러나 상무부 차원으로 시행할 수 있는 기술교육에는 한계가 있었다.
    1947년 4월 미군정은 기술교육위원회를 설립하고 현장노동자와 학생을 대상으로 단기 기술교육을 실시하였다. 기술교육위원회는 미군정청의 직속기구로 위원장은 문교부 차장 오천석이었다.
    그러나 미군정기 농업분야를 제외한 분야, 특히 공업기술 분야에서는 문교부가 아닌 상무부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산업현장에 필요한 기술인력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고, 공업기술인력 양성의 경험이 있는 부서가 상무부였기 때문이다. 같은 까닭으로 기술교육위원회의 실제 책임자인 미국인 고문은 상무부 도량형소를 담당하던 번하이젤이 맡았다.
    1947~1948년도에 기술교육위원회의 예산을 가장 많이 배정받은 부서는 상무부였다. 상무부는각 부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공업 분야를 제외한 분야, 기계·화학·섬유·광산·유지·제지 등의 분야에 각각 단기기술자양성소를 만들어 숙련노동자를 양성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기술자교육은 실습관련 문제로 공장 등 산업현장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비록 기술교육위원회의 구심점은 문교부였지만, 실질적으로 가장 많은 예산을 사용하고 공업기술자 교육을 실시한 기관은 상무부가 된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미군정이 기술교육위원회에 교육적 기능을 추가하면서 변화하게 되었다. 1948년4월 기술교육위원회는 보조금을 통해 공립실업학교를 도와 적절한 교육시설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기술계 학생 및 기술자들의 해외 연수 기획 과정에서 추천권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었다. 이는 기술교육위원회의 이러한 변화는 교육생들의 수준이 낮아 기술수업을 따라갈 수 없었던 한계와 각 부서 내 관심 정도에 따라 성공여부가 달린 불확실성 때문이었다. 결국 기술교육위원회의 기술교육은 상무부 주도의 현장교육에서 문교부를 중심으로 한 실업교육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영어초록

    After liberation, the Korean industrial sector lacked not only high-quality engineers but also skilled workers in the field. The USAMGIK had to solve this problem for stable supply and demand and governa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SAMGIK attempted to provide technical education to cultivate skilled workers through short-term technical educa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agency that implemented these policies was mainly the Department of Commerce located at the Seoul Central Office. However, there was a limit to technical education that could be implemented at the level of the the Department of Commerce.
    In April 1947,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and provided short-term technical education for field workers and students.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is a direct organization of the USAMGIK, and the chairman was Oh Cheon-seok, deputy director of the Deportment of education.
    However, the Department of Commerce, not the Deportment of education, had no choice but to play a key role in areas other than the USAMGIK's regular agriculture sector, especially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At that time, the Department of Commerce was the department that best understood the situation of technical personnel needed for industrial sites and had experience in fostering industrial technical personnel. For the same reason, the American adviser, who is actually in charge of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was Charles K. Bernheisel, who was in charge of the Weights and Measures Station of the Department of Commerce.
    From 1947 to 1948, the department with the largest budget allocated by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was the Department of Commerce. The Department of Commerce established short-term technician training centers in fields other than industrial fields directly related to each department, and in fields such as machinery, chemical, textile, mining, oil and paper, respectively. In addition, most of the technician training was conducted in industrial sites such as factories due to practical problems. Therefore, although the core of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was the Deportment of education, the institution that used the largest budget and conducted industrial engineer education became the Department of Commerce.
    This trend changed when the USAMGIK added educational functions to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In April 1948,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was able to establish appropriate educational facilities by helping public vocational schools through subsidies. In addition, technical students and engineers have the authority to exercise the right to recommend in the process of planning overseas training. This change in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was due to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ollow technical classes due to the low level of trainees and the uncertainty of success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terest within each department. In the end, the technical education of the Technological Training Board changed from field education led by the Department of Commerce to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unemployment education centered on he Deportment of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