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족국가 바깥에서 등장한 조선인 ‘위안부’와 귀향의 거부/실패-1991년 이전 대중매체의 일본군 ‘위안부’ 재현을 중심으로- (Korean ‘Comfort Women’ outside of Nation-State and Failure or Rejection of Homecoming-Focusing on Representation of ‘Comfort Women’ in Japanese Military by Mass Media before 1991-)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5
36P 미리보기
민족국가 바깥에서 등장한 조선인 ‘위안부’와 귀향의 거부/실패-1991년 이전 대중매체의 일본군 ‘위안부’ 재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8호 / 367 ~ 402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초록

    이 글은 1991년 이전 민족국가 바깥에서 등장한 세 명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의 삶을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당대 대중매체의 재현 방식을 반성적으로 살펴보았다. 배봉기, 노수복, 배옥수의 삶은 대중매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고국에 알려졌으나 다양한 글쓰기 전략과 텍스트 짜깁기를 통해 상업적으로 활용되고 외설적으로 소비되었다. 결국 이들의 귀향은 저마다 다른 이유로 달성되지 못했다. 배봉기의 귀향의 거부/실패의 원인이 오십여 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여성에게 특별히 더 가혹한 가난에 있었다면, 베트남난민이었던 배옥수는 젠더와 국적에 따른 차별에 의해 고국에서 잊혀졌다. 노수복은 비교적 한국의 활동가․시민단체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그녀 역시 자신을 “중국인”으로 소개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대중매체는 조선인 ‘위안부’를 민족 수난사의 증인으로 호명하는 동시에 순결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는 서사를 통해 이들을 공동체 바깥으로 배제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과 바깥은 민족국가의 서사일 뿐, 배봉기, 노수복, 배옥수의 삶의 터전은 민족국가의 범위를 넘어서 있었다. 민족국가의 서사로 말끔히 회수되지 않는 이들의 삶의 현장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초국가적 성격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 준다.

    영어초록

    Hak-soon Kim’s testimony in 1991 aroused immediate resonance in academic circles and civil society not only because of the power of her testimony but also because of the presence of the people who are ‘ready to hear’. Thus, we need to reflect how the testimonies of Bong-ki Bae of Okinawa in 1975, Soo-bok Roh of Thailand in 1984 and Vietnamese refugee Ok-soo Bae in the same year were reproduced. Exploring the aspects of representation of the testimonies by the ‘Comfort Women’ in Japanese military before 1991 has 3 significant meanings; First, this study looks into how victimized ‘Comfort Women’ were reproduced as post-colonial nationalism and misogyny intersect each other. Second, through the failure/rejection of the homecoming of the survivors that appeared outside the nation-stat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in Japanese Military cannot converge into a problem of nation-state. Lastly, the scenes of the failure/rejection of Bong-ki Bae’s and Soo-bok Roh’s homecoming in 1988 imply the beginning of Jeong Dae-hyup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Asian Women’s Solidarity, which requires special attention. The failure/rejection of witnesses’ homecoming before 1991 shows that the problem of ‘Comfort Women’ in Japanese Military cannot converge into a problem of nation-state and became the starting point for transnational women’s solidar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間SAI”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