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의 熊津都督府 逐出과 壬申亂 (Tang China-Silla War & Jinshinran(壬申亂))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0.08
35P 미리보기
新羅의 熊津都督府 逐出과 壬申亂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8호 / 161 ~ 195페이지
    · 저자명 : 서영교

    초록

    670년 羅唐戰爭이 발발했다. 신라가 백제지역을 공격하여 잠식해 들어오자 熊 津都督府는 倭國의 近江조정에 거듭 청병을 했다. 671년 9월 唐軍이 압록강을 건너남하하여 평양을 베이스캠프로 삼고 공격대를 꾸려 황해도로 진군했다. 그러나 10 월 대동강 입구에서 唐의 運糧船 70척이 신라 수군의 공격을 받고 격침되었다. 보급이 끊기자 唐軍은 북쪽으로 철수했고, 남쪽 熊津都督府의 함락이 임박했다. 같은해 11월 熊津都督府의 郭務悰은 배 47척에 2,000명을 태우고 금강을 빠져나가 對馬 島에 사람을 보내 입국수속을 밟았다. 12월 3일 그 결정적인 타이밍에 天智가 사망했다.
    熊津都督府의 소멸을 알리는 사상 초유의 Exodus와 독재자 天智의 永眠은 倭 國사람들에게 새로운 시대를 예감케 했다. 그 누가 신라에 의해 唐이 백제에서 밀려난다고 상상이나 했겠는가.
    672년 熊津都督府의 소멸은 백제 땅에서 唐軍基地가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했고, 그것은 倭國人들에게 무엇보다 큰 변화였다. 지금까지 倭國은 唐의 영향 하에 들어가는 것이 두려워 백제에 가서 전쟁을 했고, 패전 후 日本열도를 방어하기 위해 광범위한 築城과 대토목공사를 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동원되었고 엄청난 희생자를 낳았다. 하지만 倭國人들은 백제 땅에 있는 唐軍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天智天皇의 독재를 忍耐했다. 그 공포는 近江조정을 작동시키는 연료였던 것이다. 백제에서 唐軍이 축출되자 그 인내의 이유가 사라졌고, 大友는 推動力을 잃었다.
    672년 6월 大海人皇子가 반란의 깃발을 들자 豪族들이 가담하여 병력 수만이 휘하에 모여들었다. 반면 大友가 병력 모집을 위해 사절을 각지에 보냈지만 倭京(아스카)에서 실패했고, 吉備 總領은 목숨을 내놓고 움직이지 않았으며, 筑紫의 總領은 외침을 핑계로 거부했다.
    672년 7월 22일 瀨田 다리의 싸움(지금의 大津市 가라하시정)에서 大海人의 군대가 大友측을 대파하고, 다음날 大友皇子가 자결하면서 壬申亂은 성공한 반란이 되었다. 大海人皇子가 天武天皇으로 즉위하였다. 熊津都督府의 소멸이라는 国際的契機가 壬申亂 勃發의 중요한 환경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July 660, Baekje, a Japanese ally, was occupied by allied forces of Silla and Tang China. There was looting by the occupying forces, and the people of Baekje began to resist here. The Baekje people sent envoys to Japan to ask for aid, and the Japanese king Saimei decided that China, which has an expanding habit, was certain to invade Japan, and that it should be prevented from Baekje. Japan provided troops and supplies to Baekje. However, it faced a disaster in 663 at the Battle of Baekchongang(白村江).
    Concerned about the invasion of Chinese troops, the Japanese king Tenji builds numerous fortresses across the country. Countless Japanese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 and had to pay taxes. A peace treaty was signed between China and Japan in 665. The Japanese, who knew of China’s strong military might, must have been relieved.
    However, every things changed when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China broke out on the Korean Peninsula in 670. Silla began to attack the Chinese General Administration of Baekje. The Chinese asked Japan for help.
    In January 671, the king of Japan Tenji disclosed China’s request for military aid. At that time, Japan could not afford to send troops to the Korean Peninsula. I don’t know why he made the declaration at that time. There could be a huge gap between messages the authorities send and how people accept it. The king’s declaration shocked Japanese society.
    Specially Japanese Local Nobles were shocked. They paid for troops and supplies during the Baekje War(660-663). Local Nobles recalled again the nightmare of their defeat in Baekje.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king Tenji itself was a disaster for them. There were many Baekje people who wanted a war beside the king .
    In October 671, Silla further intensified its attack on the Chinese General Administration of Baekje, and the fall came. In November of that year, a Chinese official escaped from Baekje with 2,000 people aboard 47 ships and entered Japan. On Dec. 3, the Japanese king Tenji died at this critical time.
    The massive Exodus, which means the collapse of the General Administration of China in Baekje and the death of dictator Tenji gave people a foreboding of a new era. On the other hand, to crown prince meant isolation. The Chinese emperor and his strings were cut off. The Baekje people beside the crown prince Ootomo also lost their meaning of existence.
    In 672, the Chinese military zone disappeared from Baekje. It was, above all, a change in the era. So far, Japan has fought a war in Baekje for fear of falling under Chinese rule, and has set up a broad fortress to defend the Japanese islands after the defeat. Many people have sacrificed, but they have endured the dictatorship of the Japanese king Tenji because of fears of an invasion by China. Now the reason is gone. The cause was invalidated.
    In June 672, Prince Oama revolted in Yoshino. He is the brother of the dead king Tenji. Then a large number of local nobles joined in Prince Oama. Tens of thousands of troops quickly gathered under Oama. They wanted a new government to be ruled by Oama.
    On July 22, 672, the rebels defeated the government forces, and the next day, Prince Ootomo killed himself, making it a successful rebellion. The prince Oama ascended to the throne. He was Tenmu Ten-nou. A new Japan was born in the aftermath of the Baekje W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