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한성부의 閪失文記 공증 절차 (The procedure for notarization of the Seosil-mungi(閪失文記) of Hanseongbu(漢城府) in the lat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02
30P 미리보기
조선후기 한성부의 閪失文記 공증 절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113호 / 145 ~ 174페이지
    · 저자명 : 박하늘

    초록

    조선후기 서실입안의 발급을 위해서는 신청자가 관에 입안 신청 소지를 제출하고 관에서 신청자의 이웃 세 명, 즉 삼겨린[三切隣]을 불러 사실의 진위를 공초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한편 수도인 한성의 토지 및 가옥에 관한 공증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던 한성부는 이 서실입안 발급에 필요한 삼겨린에 대한 공초를 하위 관청인 5부에 지시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도록 했다. 이것은 조선의 중앙 관청으로서 지방 관청 중 유일하게 5부라는 하위 행정조직을 가진 한성부만의 특수한 점이며, 이 과정에서 현재 드물게 나타나는 5부의 문서가 발견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조선후기 한성부의 서실문기 공증 절차를 검토하고 그동안 고문서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한성부 5부의 문서를 함께 살펴보았다.
    한성부 서실문기 공증 과정에서 5부는 주로 牒呈, 招辭, 立旨를 발급하였고 이들 문서는 한성부 서실입안과 함께 점련되어 나타난다. 이를 통해 수도 내 토지 및 가옥의 斜給立案 발급 업무를 담당했던 한성부 예하에서 5부가 서실문기에 관한 공증 업무를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5부는 한성부를 5개 部로 나눈 하위 행정구역으로 각 관할지역 내 토지와 가옥에 관련된 일을 더 상세히 파악하고 있었다. 따라서 민의 생활 전반에 관련된 사실 조사를 하는데 더 용이하였을 것이다.
    한편 한성부의 서실문기 공증 절차는 시기별로 점차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17세기 초중반까지 신청자가 한성부에 입안 신청 소지를 제출하여 5부가 삼겨린에 대한 조사를 마친 후 한성부의 서실입안이 발급되었다면, 17세기 후반부터는 입안이 입지로 점차 변화하고 기존 한성부에 올렸던 소지를 신청자가 곧바로 5부에 제출하는 방식으로 변화한다. 그러면 5부에서는 자체적으로 삼겨린에 대한 조사를 완료한 후 이를 보고하여 한성부의 서실입안을 발급받도록 하거나, 삼겨린의 진술을 문서화하여 신청자에게 돌려주고 직접 한성부의 입지를 발급받도록 했다. 또 18세기 중반부터는 본격적으로 입지가 공증 문서로 정착하면서 발급 절차가 더욱 간소화된다. 먼저 5부에 입지 신청 소지를 올려 입지를 발급받고 이 5부의 입지를 근거로 다시 한성부에 소지를 올려 한성부의 입지를 받는 방식이었다. 두 개의 입지 중 한성부의 입지가 최종 공증 문서가 되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issue Seosil-iban(閪失立案)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pplicant had to submit the application for drafting to the government, and the government had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alling the applicant's three neighbors, namely Samgyurin[三切隣], to confirm the authenticity of the facts. Meanwhile, Hanseongbu(漢城府), which was in charge of notarization of land and houses in Hanseong(漢城), the capital city, instructed the 5 departments(五部), a subordinate office of Hanseongbu, to investigate the Samgyurin necessary for issuing the document, and report the results. This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Hanseongbu, which is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of Joseon and has the only sub-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5 departments among local government offices.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notarization procedure of Seosil-mungi(閪失文記) of the Hanseongbu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looked at the documents of the 5 departments of the Hanseongbu, which had not been well covered in the research of ancient documents.
    In the process of notarizing the Seosil-mungi of Hanseongbu, 5 departments were mainly issued Cheobjeong(牒呈), Chosa(招辭), and Ibji(立旨). 5 departments was a sub-administrative district divided into 5 departments, Hanseongbu, and had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land and houserelated matters within each jurisdiction.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easier to investigate the facts related to the life of the people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the notarization procedure of Seosil-mungi in Hanseongbu shows a gradual change over time. In the early and mid-17th century, an applicant submitted an application for drafting to Hanseongbu, and after 5 departments of the investigation on Samgyurin were completed, the Hanseongbu Seosil-iban was issued. However,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plan gradually changes to the location, and the applicant submits the possessions that were previously posted to the Hanseongbu directly to the 5 departments. Then, after the 5 departments completed its own investigation on Samgyurin, it reported it and had it issued for the office of Hanseongbu, or documented Samgyurin's statement and returned it to the applicant and had it directly issued for the location of Hanseongbu. From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issuance process became more simplified as the location became established as a notarized document in earnest. First of all, it was a method of receiving a location by raising the application for location in the 5 departments and receiving a location in the Hanseongbu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5 departments. Among the two locations, the location in Hanseongbu became the final notarized docu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