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기 학적부 양식의 변화로 본 식민지 교육의 실상 — 동덕여고 학적부(1914-1945)를 중심으로 — (The Reality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ased on Change in the School Register Form -Focusing on the School Register of Dongduk Girls’ High School in 1914-1945-)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3
33P 미리보기
일제강점기 학적부 양식의 변화로 본 식민지 교육의 실상 — 동덕여고 학적부(1914-1945)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7호 / 125 ~ 157페이지
    · 저자명 : 김명숙

    초록

    본고는 일제강점기 동덕여고 학적부(1914-1945년) 양식의 변화를 통하여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의 실상을 고찰한 것이다. 학적부는 기본적으로 1911년부터 시행된 조선교육령의 규제를 받았는데, 이후 조선교육령이 3차에 걸쳐 개정되면서 식민지 교육목표 및 교육정책도 변경되었고, 학적부 양식 또한 변화하였다.
    제1차 조선교육령기에 해당하는 동덕여학교 시기는 일어의 국어화로 일어교육이 강제되고 일본역사와 일본지리 교육을 강요당하기는 하였으나, 학생에 대한 보호와 감독을 명분으로 한 보증인 제도도 상대적으로 약했으며, 학생의 몸을 표준화된 국민신체로 관리하기 위한 신체검사도 실시되지 않았다. 교사의 주관적 판단이 좌우하는 성행평가에서도 대체적으로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처럼 동덕여학교는 비록 정규학교로 인정을 받지는 못했으나, 학생 통제나 학생 평가에서 사립학교이기에 가능했을 ‘상대적 자율성’을 담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1926년 정규학교로 승격된 동덕여고보는 여성중등교육기관으로서 한 축을 담당하게 된 반면, 일제의 식민지 교육체제로 편입되어 일제의 간섭과 통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다. 이는 학생의 주소 이동 사항, 가업(家業)⋅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파악, 보증인⋅대리보증인 제도를 통한 학생 감독 강화로 구체화되었다. 교과목 운영에서도 제3차 조선교육령기에 조선어가 폐지되었고, 여고보⋅고녀생들의 근대학문에 대한 열망과는 달리 실업위주의 기예교육을 더욱 강화하여, 1920-1930년대 여고보⋅고녀의 교육목표를 ‘신부양성소적’ 성격의 종결교육기관으로 규정하였다.
    1928년부터 시작된 동덕여고보의 신체검사는 1934년부터 검사 항목이 증가하고 측정 항목이 전문화되었으며, 진단 결과에 따른 신체관리를 강조하면서, 학생의 신체를 표준화된 국민신체로서 관리하였다. 특히 1930년대에는 비상전시동원체제에서 학생의 신체는 언제고 동원할 수 있는 군사력⋅노동력으로서 중시되었다. 1943년부터 시행된 제4차 조선교육령기에는 국민총동원체제에서 학교의 정규교육이 거의 정지된 채 학생들은 근로에 동원되었으며, 근로는 점수화되어 학적부에 기록되었다. 이처럼 학교가 병영화되고 학교교육이 형해화된 상황에서 교과목 성적은 상대평가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동덕여고보⋅동덕고녀 교사들은 식민지 교육체제라는 한계 상황 속에서, 교사의 주관적 판단이 가능한 성행평가에서, 학생의 성품을 평가하기보다는 교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호불호(好不好)나 졸업 후의 진로를 파악하는데 활용하였고, 학생들을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상급학교 진학이나 취직에 유리하도록 하여, 일제의 파쇼적인 교육에 대응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reality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f Korea based on change in the school register form of Dongduk Girls’ High School(同德女高) between 1914 and 1945. School registers were under regulation of Joseon Education Ordinance(朝鮮敎育令), which came into effect in 1911. As a result, as the ordinance underwent four amendments, the goals and policy of colonial education as well as the school register form were modified accordingly.
    During the Dongduk Girls' School(同德女學校) period, i.e. the 1st Joseon Educaiton Ordinance period, Japanese was forcefully taught as a national language and Japanese geography also became a mandatory subject. However, the 'guarantor system,' which claimed to protect and supervise students, was relatively weak and students did not receive physical examination, which was intended to manage students' bod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ndard. Character evaluation(性行評價), which is determined by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teacher, also gave positive feedback on the students, overall. Despite not being recognized as an official school, Dongduk Girls' School(同德女學校) made effort to ensure 'relative autonomy' in their student management and evaluation, which was presumably only possible as it was a private school.
    However, in 1926, as the school was promoted to an official school, Dongduk Girls' Hjgh School(同德女高普) became part of an official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emale students and, therefore, fell under the interference and control of the Japanese and their colonial education system. This change brought reinforcement of student supervision through records of address change, household business,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students, and guarantor/substitute guarantor system. Also, regarding curriculum, Korean was eliminated in the 3rd Joseon Education Ordinance, and, despite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sh to study modern subjects, the ordinance reinforced practical handcraft education, setting the goal of female high school education during the 1920s and 1930s as a training school for bride.
    Dongduk Girls' High School(同德女高普) began to conduct physical examination in 1928, and, from 1934, the examination and measurement items were added and specialized,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hysical management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result in an attempt to manage the students' physical status according to a set of standards. Especially, during the 1930s, under the period of war time mobilization, the students were regarded as reserved military and labor force that could be called upon at any time. During the 4th Joseon Education Ordinance, which was enforced in 1943, regular school education was all but suspended as the students were used for labor, which was scored and recorded in the school register. As the schools became militarized and education weakened, academic performance was graded on a curve.
    However, despite the constraints under the colonial education system, teachers of Dongduk Girls' High School(同德女高普) and Dongduk Girls' High School(同德高女) used the 'character evaluation' for determining students preference in school subjects and career goals, rather than for evaluating their characters and mostly gave positive evaluation for students so as to facilitate further education or employment of the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