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婦權의 존재 양상 연구 (The Modes of Existence for the Housewife’s Authority in Joseon Dynast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조선시대 婦權의 존재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73호 / 65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은봉

    초록

    ‘주부의 명절증후군’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낸 제사 문화와 시집살이 문화는 어쩌면 오랜 전통이 아닌 최근의 문화일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조선시대 婦權의 상실이 조선 후기 성행한 ‘양반-되기’ 문화 때문이라는 것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중기까지 여성 특히 가정 내 부인은 친정에서 가지고 온 재산과 친정과의 유대를 통해 나름의 권위를 가지고 주체적 삶을 살았다. 하지만 이러한 婦權은 임병양란 이후 영세해진 가문을 지키기 위해 딸을 상속에서 배제하면서 사라졌다.
    그렇지만 전 인구의 양반화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양란을 기점으로 종법제에 입각한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로 확산될 수는 없었다. 성리학적 가부장제가 전 인구의 보편적 윤리가 된 것은 양란 이후 지속적 사회 변화 속에서 양반의 수가 급증하였기 때문이다. 게다가 천자부터 평민까지 모든 사람이 종법제를 지켜야 한다는 정주학의 예론은 모든 집안에 ‘사당’을 두어 조상의 제사를 모시라고 하는 『주자가례』를 통해 실현되었다.
    경제력을 상실한 양반이 자신을 양반으로 내세울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오직 준엄한 의례밖에 없었으며, 양인에서 양반이 된 사람들 또한 양인과의 구별을 위해 ‘형식적 예’만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19세기 조선의 ‘양반-되기’ 문화는 성리학적 가부장제에 의한 예법을 공고히 했다. 이 결과 여성은 오로지 시집을 위해 종사하는 존재가 되었으며 이렇게 하는 것이 남편과 아들의 가문을 지키는 일이라 생각해 스스로를 옥죄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triggered by the idea that the culture of ancestral rites and the patrilocality, which entail the excessive sacrifice on the part of the wife, that eventually led to the coinage of the expression, “housewives’ holiday stress,” is perhaps not the age-old traditions it claim to be, but rather a recent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loss of housewife’s authority is the product of “becoming yangban (aristocrats),” which was a culture that was in fash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women, in particular, the married women maintained an autonomous life which allowed them the authority to an extent, based on their properties that they brought from and the ties that they maintained with their original family and. However, such authority of the housewives disappeared since the invasion of Joseon by Japan and Qing in the year of Imjin (1592) and Byeongja (1636), respectively, as the daughters were excluded from receiving inheritance in a desperate attempt to maintain the impoverished family after the wars.
    However, patriarchy based on neo-Confucian custom and convention of patriarchal clan system could not spread to the entire population immediately after the wars, as it was impossible to include everyone in the aristocratic class (yangban). It was due to the increase of aristocrats within the continued social changes that occurred after the wars that the neo-Confucian patriarchy became the norm and ethical standard in Joseon society. Also, the theory of propriety in neo-Confucianism that everyone from the emperor down to commoners must abide by the patriarchal clan system was realized through Zhuzi jiali, i.e. Master Zhu’s Family Rituals, which institutionalized the system of family rites by setting up ancestral shrines in every household.
    For the aristocrats who lost their financial footing, the only basis they could rely on to prove their aristocratic lineage is the strict compliance with the rituals. Also, for the once commoners who turned into aristocrats one day had to emphasize the formal propriety in order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 commoners. Hence, the culture of “becoming yangban” in the nineteenth-century Joseon was what solidified the patriarchal rituals, decorum, and clan system. As a result, women have become subordinated to the husband’s families, which forced the women, i.e. the housewives to serve them and sacrifice themselves for them. At times, women self-imposed such restraints on them as they led themselves into believing that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family for their s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