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副君과 月池宮 (A Study on Shilla Bugun and Wolji-G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02
22P 미리보기
신라 副君과 月池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0호 / 63 ~ 84페이지
    · 저자명 : 홍승우

    초록

    이 논문은 신라 동궁이 왕위계승권자인 태자의 거처가 맞는지와 『三國史記』와 「鳳巖寺智證大師寂照塔碑文」 에 등장하는 月池宮이 東宮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憲德王 14년에 興德王이 책봉된 副君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부군은 태자의 이칭으로 널리 사용된 용어이지만, 헌덕왕대에 별도의 태자가 있었기에, 왕위계승권자인 태자와 동일한 실체가 아니라는 주장이 일찍부터 제기되었다. 이 주장을 근거로 동궁이 태자궁이 아니라거나, 월지궁과 동궁이 동일한 실체가 아니라는 주장들도 나오고 있다.
    우선 『三國遺事』 「溟州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에 나오는 부군을 고찰하였다. 이 부군이 신라 당대에 사용된용어인지를 확인하기는 힘들지만, 일반적인 왕자의 의미로 사용된 태자와 구분되는 지위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그 의미는 왕위계승권자인 태자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흥덕왕의 경우만 다른 『三國史記』의 태자 책봉기사들과 다르게 부군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부군이 단순한 태자의 이칭이 아닐 가능성을 보여준다. 흥덕왕이 된 부군은 헌덕왕이 조카 애장왕을 죽이고 왕위를 빼앗은 사건과 관련하여 자칭한 것으로 보이는 부왕이라는 칭호와 동일한 것이다. 신라에서는 전왕과의 실제 가족 관계와 무관하게 왕위계승권자를 태자로 칭했지만, 이미 당에 널리 알려진 헌덕왕이 자신을 태자라 칭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대신 부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였고 그것이 흥덕왕이 된 부군으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이고 임시적인 호칭이었고, 그 실체는 태자였기에 곧 다시 태자 호칭이 사용되었다.
    흥덕왕이 된 부군은 헌덕왕대 부왕과 동일한 것이고 왕위계승권자를 의미하는 것인 만큼, 그가 부군이 된후 들어간 월지궁이 태자의 거처 동궁과 동일한 실체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n order to confirm that Wolji-Gung, appearing in SamgukSaki and Inscriptions for Jijeung- Daesa, is the name of Shilla Dynasty’s East Palace which is the residence of royal successor Taeja, I researched the nature of Bugun which is the official position King HeungDeok became in 822.
    First, I analyze the official titles for royal family written on biography of Prince Bojildo contained in SamgukYusa. It revealed that Bugun is the title of the successor to the throne. But it is not just different name of Taeja but the Specific Nomenclature used by King HeonDeok.
    King HeonDeok robbed the throne from his nephew. But he did not notify the Tang Dynasty his self crowning. He just sent a envoy and informs he is legitimate royal successor. But he is already known as a uncle of previous king named Aejang, so he did not use the official title called Taeja. He used Buwang as a title of royal succesor, but it’s nature is same to Taeja. Later, he made his little brother King HeungDeok a royal succesor, and titled as Bugun.
    In conclusion, Bugun is the official title of a royal succesor of Shilla Dynasty used during the reign of King HeonDeok and it is clear that Wolji-Gung the residence of Bugun is the other name of palace of royal successor called East Pal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