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요호부민(饒戶富民)과 부(富)에 대한 시선: ‘놀부’와 ‘옹고집’을 대상으로 (Literary Perspectives on the Rich People and Their Wealth in the Late Joseon Period: Focusing on Nolbu and Onggojip)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4
37P 미리보기
조선후기 요호부민(饒戶富民)과 부(富)에 대한 시선: ‘놀부’와 ‘옹고집’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43호 / 213 ~ 249페이지
    · 저자명 : 황혜진

    초록

    정약용이 요호부민(饒戶富民)을 3등으로 나누었던 것처럼 이 연구에서는 여러 이본에 등장하는 놀부와 옹고집을 셋으로 분류하였다. 부의 규모와 경영 방식의 차이를 기준으로 볼 때, 경판본 25장본 <흥부전>의 놀부는 농업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발생한 잉여생산물을 화폐로 전환하여 수장하는 수전노형 부농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신재효본 <박타령>의 놀부는 농업의 상업화 추세에 따라 화폐경제에 새로이 눈을 떠, 생산수단인 토지를 확보하는 데 혈안이 된 경영형 부농이다. 한편, 옹고집 경우, 규모 있는 시장경제를 배경으로 대지주로서 농업 경영의 합리성을 높이려는 지주 경영자의 면모를 추가할 수 있었다.
    나아가 결말 구조를 통해 요호부민과 사회적 재화의 편중과 분배의 문제를 바라보는 당대 향유층의 시선을 파악해 볼 수 있다. <흥부전>에서는 놀부에 대한 육체적 징벌이 행해지며 놀림과 웃음의 대상으로서 놀부에 대한 희화화가 이루어졌다. 이는 확실한 편가름을 하는 민중적 세계관의 반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박타령>에서는 이념의 화신인 장비가 등장하여 개심한 놀부에게 다시 예전의 부를 회복해 줄 것이라 함으로써 흥부와 놀부의 대립을 간접화, 약화시키고 있는데 이는 놀부와 같이 요호부민이었던 신재효의 위기의식이 투영된 결과로도 볼 수 있다.
    한편, 김삼불본 <옹고집전>이나 박순호 30장본 <옹고집전>은 경영 지주인 옹고집보다 훨씬 근면하고 합리적인 경영자 역할을 하는 허옹을 등장시켜 옹고집에게 고난을 안겼다. 이러한 설정 자체가 애초에 최상급 요호부민을 등장시켜 이들이 초래하거나 이들과 관련된 현실적 모순을 문학적 제재로 삼아 탐구하려는 작품의 의도를 무색하게 만들고 있다. 향유자들도 이런 문제를 직감하였던지 옹고집의 패륜성을 강화하여 징치의 명분을 만들어주는 서사적 합리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부엌에 드나들던 쥐가 변해 사람이 되었기에 집주인보다 살림살이를 더 잘 알고 있어 진짜를 쫓아내자 집주인이 도사를 만나 고양이를 얻어 쥐를 쫓아내는 진가쟁주(眞假爭主)의 설화 구조는 살림살이를 더 잘 아는, 그리고 살림살이를 더 잘하는 가짜 옹고집을 등장시키기에 좋은 서사적 환경을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옹고집전>은 이 구조를 활용하는 대신 현실주의적인 주제를 약화시키는 대가를 지불해야만 했던 것이다.
    <옹고집전>은 <흥부전>의 요호부민보다 더 발전된 형태의 요호부민을 그려낼 수 있었지만 <흥부전>이 지닌 명확한 세계관을 따르지 못하는 한편, 견고한 구조를 지닌 설화에도 이끌려, 새로운 인물 형상이라는 참신성과 최상등 요호부민이 초래하는 갈등을 다루는 문제의식의 급진성을 잃어버린 채 결국 판소리 전승에서 탈락하지 않았을까 한다. 그러나 <옹고집전>이 유교 윤리를 바탕으로 부의 사회적 책임이나 부자의 인성에 대한 해법을 마련한 데에 대해서는 당대적 의의를 인정해 줄 수 있다.
    <흥부전>에서는 놀부와 대결을 일삼았으나 점차 그의 역량을 인정하고, <옹고집전>에서는 이미 주어진 현실에서 빈부 갈등을 완화하기 위해 어떻게 요호부민의 선한 의지를 북돋울 것인가 하는 데에까지 나아갔다. 이러한 성취를 딛고 그 시대적 한계를 넘어 빈부 갈등에 대한 우리 시대의 역사적 전망을 선취하고, 판소리 서사처럼 영향력 높은 영화, 드라마, 웹툰, 소설 등 우리 시대의 문학적 매체를 통해 그 전망을 확산하고 실현하는 것은, 당대의 가장 심각한 문제와 정면으로 맞부딪치려 하였던 판소리 정신의 계승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categorized the different versions of Nolbu and Onggojip, as Jung Yakyong divided the rich people into three groups. Nolbu is described differently in Heungbujeon(Seoul wood print, 25pages) and Sin Jaehyo’s Paktaryeong in terms of one’s size of wealth and the way it is managed. In the former, Nolbu can be regarded as a grubber-type farmer who converts surplus products generated b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to money, whereas in the latter, he is a manager-type farmer who is eager to buy land for production under a money economy. With respect to Onggojip, he is regarded as a landlord who manages his land and is good at increasing his profit under a large market economy.
    Through the ending structures, one can grasp the attitudes of the contemporaries who view the issue of the distribution of social goods. In Heungbujeon, Nolbu’s body is subjected directly to violence, and thus the person becomes a subject of mockery. This is the reflection of the people’s worldview, distinguishing “we” from “the enemy.” In contrast, in Paktaryeong, an ideological character called Jangbi emerges, promising to restore the Nolbu's wealth if Nolbu changes his mind. Such ending in Paktaryeong weaken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can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Shin Jaehyo’s crisis of consciousness as being Nolbu himself. In Onggojipjeon, a fake Onggojip acts as a more diligent and reasonable head than the real Onggojip. This setting itself makes the intent of the text discouraged which tried to explore the problems of the unequal wealth by entering the stage of the richest 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