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대 동물 조공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에 대한 탐구* — 「사자부」와 「서응기린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Animal Tributes in the Ming Dynasty: Focusing on “Shizifu(獅子賦)” and “Ruiyingqilinsong(瑞應麒麟頌)”)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3.02
34P 미리보기
명대 동물 조공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에 대한 탐구* — 「사자부」와 「서응기린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103권 / 145 ~ 178페이지
    · 저자명 : 송정화

    초록

    본 논문에서는 조공이 체계화되고 본격적으로 가동되기 시작했던 明代를 중심으로 당시 동물 朝貢이 문학적으로 수용되면서 賦와 頌이 집중적으로 창작되었던 현상을 주목하고, 작품 속에 華夷觀적인 세계관이 어떻게 구현되었고, 계층 간의 위계질서는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명초의 詩賦류 작품들에서 異域의 사자와 기린이 吉兆로 해석될 수 있었던 원인을 당시 사대부 지식인 계층의 지식에 대한 권력과 관련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당시에 동물을 주제로 한 작품이 다수 나올 수 있었던 배경으로, 홍무제부터 영락제에 이르는 명초의 상황이 漢族 중심의 제국을 건설해가는 과정이었음에 주목하였다. 華夷觀의 시각을 바탕으로 中華를 중심으로 한 세계관을 구현하기 위해, 영락제는 조공 시스템을 견고하게 구축하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이역의 동물들이 명으로 유입되었다. 또한 필자는 영락제의 왕위 찬탈의 이력과 역사적인 정통성에 대한 갈망이 당시 사대부 관료들로 하여금 주군과 제국을 찬양하는 작품을 창작하도록 이끌었고, 그 과정에서 동물 조공이 ‘賦’라는 제도적인 문학 장르와 만나면서 「獅子賦」와 「瑞應麒麟頌」의 創作熱을 일으켰음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필자가 주목한 것은 명대의 사대부 관료들이 왜 長頸鹿(지금의 기린)을 상상 속의 기린과 동일시하여 실제 조공된 형태와 다른 이미지로 묘사했는가 하는 점이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원인을 찾을 수 있었는데, 첫째로 장경록을 중국의 상상 속 瑞獸인 기린과 동일시하여 나라와 주군을 歌功頌德하기 위함이었다. 둘째, 당시 사대부 계층은 단지 이역의 신비한 동물인 장경록을 가공송덕의 목적으로만 이용한 것이 아니라, 장경록을 ‘기린’이라는 상서로운 징조로 파악하는 것 자체에 중요한 의미를 두었다. 그들은 새로운 해석 체계를 만들어 그것을 ‘부’로써 담아냈고 사회적으로 공유했으며, 궁극적으로 지식의 패러다임을 장악하는 고유한 권력을 확보하고자 했다. 기존의 賦에 대한 학계의 인식은 지배계층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고 향락적인 욕망에 부응하며, 현실적인 메시지보다 형식에 치중한 御用문학이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명대의 「사자부」와 「서응기린송」을 통해 동물을 주제로 한 詩賦류에는 여러 복합적인 창작의 動人들이 얽혀있고,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군주로부터 신료, 백성에 이르는 위계질서에 따른 권력의 흐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詩賦류의 작자였던 사대부 계층의 권력에 대한 욕망 역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phenomenon that animal tributes were literary represented and the works of Fu(賦) and Song(頌) were actively created, focusing on the Ming Dynasty, when tributes began to be systematized. And I analyzed how the worldview of Chineseism was embodied in the work and how the hierarchy between classes was formed. In addition, the reason why foreign lion and giraffe could be interpreted as symbols of auspiciousness in the works of ‘Fu’ in the early Ming Dynasty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power of the ‘knowledge’ of the noble class.
    In this paper, I first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many animal-themed works at the time, and noted that the early Ming Dynasty situation from Emperor Hongwu(洪武帝) to Emperor Yongle(永樂帝) was the process of building an empire centered on the Han people(漢族). In order to realize the worldview centered on the Ming Dynasty, Emperor Yongle established a tribute system, and in the process, foreign animals were introduced to Ming. And I analyzed that Emperor Yongle's history of the usurpation of the throne and the desire for historical legitimacy led the aristocrats to create works praising the emperor and empire, and in the process, animal tributes met with the institutional literary genre ‘Fu’, causing explosive creation of “Shizifu” and “Ruiyingqilinsong”.
    The next thing I noticed was why the aristocrats of the Ming Dynasty identified giraffe with an imaginary qilin(麒麟) and described it as an image different from the actual form of a tribute animal. There were two reasons for this: first, giraffe was identified with China's imaginary auspicious animal, the qilin, to praise the country and its lord. Second, the noble class at the time did not use giraffe, a mysterious animal in this area, for praise purposes only, but also put important meaning on identifying it as an auspicious sign of qilin. They created a new system of interpretation, expressed it as a Fu and shared it socially, and ultimately sought to secure intellectual power to dominate the paradigm of knowledge. The general perception of the Fu was that it faithfully reflected the needs of the ruling class, responded to hedonic desires, and focused on form rather than realistic messages. However,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Ming Dynasty's “Shizifu” and “Ruiyingqilinsong”, these works were considered to be intertwined with various complex creative drivers. Therefore, I analyzed that as previously known, not only the flow of power along the hierarchy from the emperor to the noble and the people, but also the desire for power of the noble class, who was the author of the Fu, is also an important fa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