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 <順天府西面家座冊>(1774) 분석을 중심으로 - (The Life Aspect and Agricultural Management of Farmers in Suncheonbu(順天府) in the Late 18th Centur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08
44P 미리보기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 &lt;順天府西面家座冊&gt;(1774) 분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문화연구 / 47호 / 43 ~ 86페이지
    · 저자명 : 허원영

    초록

    이 논문은 『順天府西面家座冊』을 통하여 영조말년인 1774년 경 순천부 서면을 배경으로 살아간 사람들의 호구와 농업경영을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이는 조선후기 농민의 존재형태와 농업경영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함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모습들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우선 호의 규모와 구성 및 경제상황을 가족 구성원의 신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성원 규모와 구성 및 거주 가옥의 경우 신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신분이 높을수록 호와 가옥의 규모가 커지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 노동력의 측면에서는 가족노동력을 기본요소로 한 위에서 추가되는 노동력이 신분에 따라 다소 다게 나타난다. 양반A의 경우 노비·고공 등 예속인의 노동력이 상대적으로 우세한데 반해, 양반B에서는 소와 말 등 축력의 비중이 보다 높게 나타난다. 우마는 평민에 있어서도 3호당 1필꼴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농업경영 현황을 보면, 우선 농지상황은 답이 전의 3배를 넘어서는 속에서 75%가 자작지일 정도로 자작경영이 우세하였고, 병작경영은 답에서 활발하였다. 경작전답의 규모와 성격도 신분과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준다. 신분이 높아질수록 경지면적이 넓어지는 것은 물론, 병작지에 비해 자작지의 면적이, 전에 비해 답의 면적이 증가하고 있다.
    경작 규모에 따른 부농-중농-소농-빈농에 따른 계층별 분포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자작지와 병작지가 상호 보완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부농의 경우 양반A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양반B와 평민에서도 다수 존재했다. 부농에는 자작지만을 경영하고 있는 “지주형 부농”이 많았다. 그러나 자작과 병작을 겸영하거나 병작경영만을 하고 있는 “경영형 부농”도 상당수 존재하였고, 일부는 광작경영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당시 순천부 서면의 농민 중 1/3은 빈농 또는 무농이었다. 이들 빈농과 무농들은 생활 전반에 있어 열악한 조건에 놓여 있었고, 자신들의 노동력을 타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거나 보완해 갔으리라 추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Hogu(戶口) and the agricultural management of the people in west of Suncheon area shown in 『Suncheonbu- seomyeon-gajwachaek』 of 1774. It aims to specify exactly how the farmers of the late Choseon Dinasty exist and they manage their farm.
    First, we analyze the family members and their economic condition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The scale and composition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ir residential house proved to have much to do with the social status. The higher their social status, also the bigger the scale and their residential house of the family members and the more complicated the family members. On the contrary, in terms of labour it shows a different pattern. Yangban-A is superior in a dependent human labour force such as slaves and farmhands while Yangban-B is superior in an animal power such as horses and cows. Every three houses of common people possess a horse and a cow.
    Regarding agricultural management, the rice paddy is three times as large as the field in farmlands. Most of the farmlands up to 75% are managed in way of self-sustenance while fields of ordinary crops. The scale and feature of farmland proved to have much to do with the social status. The higher their social status, the bigger the scale of the cultivated acreage.
    Also the area of farmlands managed in way of self-sustenance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fields of ordinary crops, and the area of the rice paddy increases compared to that of fields.
    The class such as rich farmers, middle­class farmers, small farmers and poor farmers is even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cale of areas under cultivation. Rich farmers are relatively more found in Yangban-A, and they are also distributed in Yangban-B and common people. While rich farmers mostly manage their own farmland there exist a number of rich farmers that manage fields of ordinary crops or combine the management of both sides.
    In those days, one third of farmers in west of Suncheon area belong to either poor farmers or farmhands. In poor conditions they seemed to earn their living by providing their labour to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