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동파(蘇東坡) 적벽부(赤壁賦)의 민화적 수용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folk painting acceptance of Su Dongpo蘇東坡's Chibi Fu赤壁賦)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6
14P 미리보기
소동파(蘇東坡) 적벽부(赤壁賦)의 민화적 수용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6호 / 6 ~ 19페이지
    · 저자명 : 김취정

    초록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관련 고사(故事)를 재연하는 행사를 여는 것은 조선 문인들의 놀이문화, 즉 풍류(風流)였다. 책거리 그림 속에 펼쳐진 책에 「적벽부」의 내용을 써 넣는 경우가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러한 민화의 수요층들도 소동파의 적벽부에 대해서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논문은 소동파 적벽부의 민화적 수용 양상 고찰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즉, 소동파의 적벽부 내용이 수용된 사례나 요소가 있었는지, 그리고 있었다면 그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동파의 적벽부 관련 고사의 재연은 뱃놀이보다는 문주회(文酒會)가 중심이다. 문주회라 하여 술자리만 있어서도 안 되며, 문, 즉 시문이나 부를 짓고 노래하며 모임을 함께하는 벗들과 함께 서로 문으로써 교류가 가능할 때 소동파 적벽고사의 온전한 재연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당시 민화 수요층에서는 쉽지 않은 것이었기에, 적벽부 관련 고사를 재연하는 풍류도 민간에는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민화의 제작과 감상이 성행하던 시기에는 언문 소설을 비롯하여 민들이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책들을 책대여점인 세책방(貰冊房)을 통해 직접 접하거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와 같은 이야기들을 전해주는 이야기꾼들의 입을 통해 들을 수 있었던 친근한 이야기 장면들을 시각화한 그림에 대한 수요는 많았던 것 같다. 그러므로 적벽부 관련 민화는 당대 문화의 유통과 소비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t was the play culture of Joseon literati, that is, Pungryu(風流), that Joseon scholars held an event to reenact the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Chibifu(赤壁賦) of Su Dongpo(蘇東坡).There are not a few cases where the contents of the Chibifu are written in the open book in the picture of Chaekgeori. Therefore, it is presumed that the folklore consumers also knew about the Su Dongpo's Chibifu.This thesis is a study to examine the pattern of the folk painting, acceptance of Su Dongpo's Chibifu. In other words, I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cases or elements in which the contents of Su Dongpo's Chibifu were accepted, and if so, what the pattern was.The reenactment of Su Dongpo Chibifu - related tales is centered on munjuhoe(文酒會) rather than boating. Munjuhoe was not just a drinking party, but a complete reenactment of Su Dongpo's the story of Chibi (赤壁故事), when exchanges are possible by meeting with friends who write poetry, sing, and gather together. Since this was not easy for the folk folklore demanding class at the tim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folk painting of reenacting the ancient history related to the Red Cliff(赤壁) was not done in the private sector. At a time when folk tales were more popular, it was a familiar story scene where people could directly access books that people could enjoy, including novels in Korean spoken language or Unmum(諺文), through book rental shops(貰冊房), or through the mouths of storytellers who told stories such as Three Kingdoms Jiyeonui(三國志演義). It seems that there was a lot of demand for pictures that visualized them. Therefore, folk tales related to Chibifu should be looked at in terms of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culture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