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缶와 瓦 부수자 어휘와 옹기 고찰 (A Research on Onggi and the Vocabulary of Radicals of '缶' and '瓦' in Chinese Character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7.03
23P 미리보기
缶와 瓦 부수자 어휘와 옹기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67호 / 127 ~ 149페이지
    · 저자명 : 나도원

    초록

    옹기는 우리나라의 생활용기로서 종류도 다양하고 쓰임도 많다. 옹기 혹은 질그릇이라 표현되는 한자는 주로 缶부수자나 瓦부수자에 속해있다. 본고는 이 부수에 속하는 글자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옹기’를 뜻하는 한자가 무엇이 있고, 그 한자는 어디에서 왔으며, 현재 중국에서는 어떤 의미로 남아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첫째, 원래 한자의 의미 혹은 중국에서 사용되는 의미와 상관없이 한자를 빌어 표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옹기의 종류나 옹기와 관련된 어휘가 한국이 훨씬 풍부하다. 예를 들면 오가리, 겹오가리, 겹단지, 고배, 곽지, 귀댕이, 귀동이, 귀때동이, 너럭지, 널벅지, 널베기, 네모병, 두멍, 등종지, 물병, 허벅, 버지기, 버치, 방구리, 소매통, 소주고리, 오가리, 자라병, 자박지, 조쟁이, 중두리, 중항아리, 탕발, 푼주 등등 그 지역과 쓰임에 따라, 혹은 모양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송재선, 『우리나라 옹기』 참고> 옹기의 종류도 중국에서 의미하는 옹기는 대부분 항아리, 동이, 단지 정도의 모습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한자로 다 표현이 힘들었기 때문에 실제로 중국에서 사용되는 한자의 의미와는 상관없이 우리가 한자를 붙여 사용한 어휘들이 많이 보인다. 예를 들면 소주고리를 나타내는 甑․甗이나 장군을 나타내는 缾․ ․瓨․㼯 등 장군을 나타내는 글자는 다 그렇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이처럼 중국에서 사용되는 한자의미와 상관없이 우리의 한글 의미를 나타내는 글자로 한자를 사용한 옹기들은 대부분 우리 고유의 옹기일 가능성이 높다. 소래기, 소주고리, 장군 등이 여기에 속한다.
    셋째, 해당 옹기를 나타내는 한자의 대부분은 『집운』, 『광운』, 『자휘』, 『옥편』, 『정자통』, 『자휘보』 등 한국에 영향을 많이 끼쳤던 고서에서 인용된 것이다. 이것은 한국의 한자가 어떤 경로로 전해졌는지 그 전승관계를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또한 『방언』과 같은 문헌을 참고하면 우리나라가 어느 지역과 더 긴밀하게 교류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언어는 일방적으로 한방향으로만 전파되지 않는다. 언어는 상호교류이고 따라서 언어는 그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고 민족학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따라서 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어휘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넷째, 방언과 고문헌에 나타난 한자사용지역을 살펴보면 산동과 동북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부분과 중국 중원을 중심으로 함곡관 서쪽 지역에 이르는 지역의 어휘와 그 의미가 서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앞으로 더 깊은 연구 되어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언어의 역사적 연구에서 언어인류학의 한 분야인 지역적 연구는 인간 집단들 사이에 과거에 일어난 문화적 접촉의 사실과 그 본질에 관한 유추를 가능케 하는 중요한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앞으로 한국과 중국에 대한, 그리고 필요하다면 일본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역언어학적 연구가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하리라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Chinese characters associated with Onggi, kitchen furnishings, in the Jajun-sukyo(字典釋要), covering from their origins, different vessels that different characters refer to, and their modern meanings currently used in Korea and China. In Korea, Onggi has long been loved as indispensable and invaluable containers for people’s dietary life, traditionally used for storing, carrying, fermenting, and even tableware. Onggi has been call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gions and eras, and their shapes and functions.
    On the contrary, China has not developed as many types of Onggi as Korea has, and most Chinese Onggis have been progressed as artworks symbolizing the power and wealth of the noblemen or as important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Therefore, it would have been rather hard that the words for folksy Onggis of Korea and those for artworks or ritual utensils of China to be matched correspondently.
    Among those Chinese characters are mostly not used in modern China, or even their meanings and reading sounds have disappeared. Now we can merely get a sense of it from some remaining characters such as 盆子(pot; salver),罐子(jar; pot; jug; pitcher;). The same is true in Korea. With the changing lifestyle and industralization, fewer and fewer Koreans know what ‘So-rae-gi’, ‘Ja-bae-gi’, ‘Buh-ruhk-ji’, or ‘Doo-muhng’, and others 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