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체주의적 독일사회에 대한 하인리히 뵐의 풍자와 제 3의 길 (Heinrich Bölls Satire zum totalitären westdeutschen System und sein Versuch zum dritten We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5.09
22P 미리보기
전체주의적 독일사회에 대한 하인리히 뵐의 풍자와 제 3의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어독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어독문학 / 56권 / 3호 / 75 ~ 96페이지
    · 저자명 : 사지원

    초록

    『강 풍경』은 뵐의 “연속적인 글쓰기”를 보여주면서도 “제 3의 길”을 모색한 작품이다. 특히 『강 풍경』은 그의 만년작인 만큼 전 작품에 나타난 인물들과 주제들이 총망라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카타리나 리히터는 카타리나 블룸을 연상시킨다. 그녀는 카타리나 블룸처럼 소비사회에서 가정부이자 종업원으로 생계를 유지하지만 자부심이 강하고 영리하다. 하지만 그녀는 카타리나 블룸보다 진보적이고 교육수준이 높은 인물로 경제계의 원리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경제학 박사학위논문을 쓰고 있으며 귀족을 양산하지 않기 위해서 귀족 칼 폰 크라일과 동거하면서 결혼을 거부한다. 그녀의 고용주 에리카 부플러는 카타리나 블룸의 고용주 트루데 블로르나와 닮아 있다. 두 여성은 모두 남성들에 예속되지 않을 만큼 자율적이고 강인하고 부유하다. 또한 과거청산을 하지 않은 채 생산만을 해내는 “정치라는 공장”으로부터 남편을 ‘하차’하게 한 에리카 부플러는 찌든 가난을 참을 수 없어서 가출했던 남편의 마음을 돌린 캐테와 부유를 보장한 악덕 상인의 사위 자리에서 “하차”해 버린 펜드리히와 전쟁 막바지에 “성스러운 독일 땅”(Böll, 1987c, 92)을 위해서 누나를 고사포로 보냈던 부모를 결코 잊지 않겠다고 다짐한 광대 한스 슈니어처럼 도덕적 책임감과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인물이다. 프롤레타리아 출신의 그롭쉬는 베토벤의 곡을 들으면 『열차는 정확했다』에 등장하는 안드레아스와 올리나처럼 눈물을 흘리며 예술이 마치 자신들의 소유물인양 하는 부유한 자들과 자본주의사회에 저항한다. 칼 폰 크라일은 부유한 자들이 예술을 돈으로 망가뜨린다고 아예 피아노를 박살내버린다. 이는 에너지와 국력만을 낭비하는 연방군 군용차에 방화를 저지르는 『복무의 종말』의 그룰 부자의 행위를 연상시킨다. 이처럼 『강 풍경』은 뵐의 저항의 모티프가 총망라된 그의 결산작품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강 풍경』은 만년의 뵐의 우울과 절망만을 보여준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전의 작품들보다 소통의 폭과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그 희망의 강도를 강화시킨 작품이다. “돈도 에너지도 없는” ‘작은’ 사람들끼리의 단합이거나 “더러운 사업”으로 유지되는 정치계나 경제계를 떠나 양심을 버리지 않는 시민들끼리만 연대하는 것이 아니라 귀족이건 시민이건 돈과 명예가 있건 없건 교육 수준이 높고 낮건 관계없이 모든 계층의 다양한 직업의 인물들이 서로 소통하며 이 나라가 고향이고 집이기에 참고 견디며 조금씩 개선시켜나가자고, 그래서 “계급과 계층이 없는”(Böll 1975, 71) 사회를 만들어보자고 결의한다. 이로써 뵐은 마지막까지 실망하고 분노하고 좌절하면서도 그에 못지않게 고국 독일에 대한 강한 희망을 피력한다. “아직 (...) 희망은 있다고 생각하기”(Böll 1986, 185) 때문이다.
    또한 도청하고 감시하며 공직의 취업을 막는 공권력의 횡포에 대해서도 뵐의 주인공은 “번역이나 통역 및 여행가이드”와 같은 사적인 길을 찾을지언정 밀려나서 고통 받는 사람들의 손을 놓지 않는다. 이처럼 뵐의 작중인물들은 억압하고 군림하는 공권력에 결코 굴복하지도 길들여지지도 않으며 끊임없이 저항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제 3의 길”을 모색하고 미래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다. 따라서 뵐의 문학은 저항과 희망의 미학이며 이에 대한 연속적인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Den drei behandelten Werken in dieser Arbeit ist gemeinsam, dass sie immer die Geschichte ihrer Zeit widerspiegeln. Hier auch Bölls Auseinandersetzung mit dem Terrorismus und den staatlichen Überwachungsorganen sowie dem Radikalenerlass in den 70er Jahren spiegelt eine gewisse Rolle.
    Die Stoßrichtung von Berichte zur Gesinnungslage der Nation ist nicht opferzentriert. Hier stehen die staatlichen Überwachungsorgane staatsschutz-ähnlicher Organisationen im Fokus. Allerdings ist der Blick auf die Staatsorgane ein satirischer. Sein Widerspruch zu dem Radikalenerlass drückt Böll in Du fährst zu oft nach Heidelberg aus, wo er auch die Folgen dieses Berufsverbots für einen Alltagsmenschen beschreibt. Das persönliche Handeln des namenlosen Studenten beeinflusst wegen des Gesetzes seine Zukunft und verwandelt seine rein private Aktivität zu einer offiziellen Tätigkeit. Den Ausweg von dieser politischen Krise sieht Böll jedoch nicht mehr in einer privaten Aktivität im letzten Werk Frauen vor Flußlandschaft. Er sucht einen dritten Weg. Der Weg liegt in dem aktiven Mitwirken und in der direkten Beeinflussung der Politik. Hier bietet Böll also eine neue Variante des Klassenkampfs an. Der Abgeordnete Grobsch ist die erste Figur, die als Proletariat in die Politik eingetreten ist. Er will gegen die gesamte korrupte politische Szene kämpfen. Auch sollen sich die junge Generation des Proletariats und Graf Kryle und sein Sohn Karl an der Bildung des Staates beteiligen. Sie wollen diesen einzigen Staat verbesseren. Damit hält Böll sein Prinzip der Hoffnung von frühen Werken bis zum letzen Werk an. In diesem Sinne ist sein Schreiben “eine dauernde Fortschreib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어독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