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龜峯 宋翼弼의 예 담론과 그 의미—庶母 논쟁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itual Discourse of Gubong Song Ik-pil and it's Sense: Focused on the Argument over the Father's Concubin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7.06
31P 미리보기
龜峯 宋翼弼의 예 담론과 그 의미—庶母 논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32호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하지영

    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예학자인 龜峯 宋翼弼(1534~1599)의 예담론의 특징과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예담론을 통해 16세기 후반의 사회문화적인 흐름과 그 시대를 살다간 지식인의 사유를 읽어낼 수 있는 한 단서가 될 수 있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귀봉은 서류라는 신분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李珥, 成渾을 비롯한 사대부들과 함께 예학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의 예 담론은 기본적으로 ꡔ가례ꡕ, 및 고례의 철저하게 준수하고자 한 것이기에, 이에 시변에 따른 융통성은 다른 예학자들에 비해 결여된 편이다. 시변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음에도 기존의 예법을 수정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의 견고한 예론은 예와 情과의 갈등에서, 예를 통해 私情을 단속하려는 데에서 다시 확인된다. 이러한 귀봉의 예담론의 성격은 율곡, 우계와 진행되었던 서모 논쟁을 통해서 분명하게 표출된다. 율곡은 情理에 기반하여 主婦보다도 서모의 위치를 앞에 두려고 한 반면, 귀봉은 ꡔ가례ꡕ 및 고례에 기반하여 비첩의 위치에 둘 것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 가운데에, 오히려 첩자는 부계 혈통 내로 유입시키고자 하여 흥미로운 지점을 보였다. 이처럼 적서에 대한 대우가 처첩과 아들에서 달리한 것은, 종통을 모계가 아닌 부계에 중심으로 고착화시킴으로써 서자를 出系의 범주 안에 집어넣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배타적이고도 견고한 예 담론을 통해 그는 모순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견고해지는 계급사회에 대한 비판을 할 수 있었으며, 자신의 신분을 넘어 가정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은밀하게 존재하는 종통에, 스스로를 확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was attempted to study the ritual discourse of Gubong Song Ik-pil and it's sense. This work presuppose that it might be a clue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latter half of the 16th and the intellectual of the day. In spite of the lowly social position, Gubo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itual thought with the gentry including YI YI , Seong Hwon. Basically, his' ritual discourse observed Chi Si' Family ritual and old rites. Thus, comparing with other intellectuals, he was lacking in flexibility to adapt to changing times. He recognized the rite was not inexorable, of course, but, he was negativity to rectify the existing rites.
    He's strong discourse is reaffirmed, when he put rite before human feeling. This ritual discourse of Gubong expressed clearly through the argument of the father´s concubine between YI YI. While YI YI argued father´s concubine should stand in the first line of the women during ancestor worship ceremonies, Gubong maintained that she should treated as a slave concubine based on Chi Si' Family ritual and old rites.
    However it's interesting that, he wanted to let the child born of a concubine join in the paternal family, arguing this matter. Discriminating between the child born of a concubine and the concubine, was intended to establish not the maternal family but the paternal family. Paradoxically speaking, through exclusive and strong discourse, he can criticise hardening hierarchical society and let himself join in the paternal fami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