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屛溪 尹鳳九 心論의 특징과 그 의미 (The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Byeong-Gye Yun Bong-Gu's the Theory of Min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9.06
27P 미리보기
屛溪 尹鳳九 心論의 특징과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2호 / 305 ~ 331페이지
    · 저자명 : 안은수

    초록

    윤봉구를 비롯한 호론 학자들은 人物性異論, 未發有氣質論, 聖凡心異論 등을 통해 氣의 영역을 중시하고 강조함으로써 개체 간의 차이와 구별을 부각시켰다. 이와 같은 호론의 입장에는 君子․小人, 華․夷의 엄격한 구분을 통해 명분에 합당한 도덕성의 提高와 대외의식의 확립을 기하고자 하는 현실적 지향이 담겨있었다. 이 글에서는 윤봉구의 심론을 검토함으로써 차이와 구별을 강조하는 그의 의식이 심론을 통해 선명히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는 심에서 기의 영역에 주목하여 ‘心是氣’를 강조하였다. 기에는 淸濁이 존재하므로 서로 다른 기를 품부한 성인과 범인의 심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윤봉구는 기질과 연관된 차원에서 인간의 본심을 논의하였기 때문에 기의 精爽에도 分數가 있고 심의 고유한 능력인 虛靈함에도 분수가 있다고 보았다. 존재 간의 차이가 근원에서부터 예비되어 있음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다만 미발일 때의 기질은 성범을 막론하고 동일하다고 파악한다. 물론 범인에게 이런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지만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일이다. 미발은 기가 전혀 움직이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에도 심이 관여하기에 당연히 기질은 존재하지만 거기에 악의 가능성은 없다. 이 점은 미발시의 기질에는 선악의 가능성이 모두 존재한다고 말한 한원진과 다른 의견이다.
    특히 윤봉구는 심의 활화성(活化性)을 빈번하게 언급하고 강조함으로써 심의 자정능력을 드러내었다. 심의 자정능력인 활화성은 성범의 구분이 없이 누구나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능력이다. 그러니 누구라도 기질변화의 욕구를 지니기만 한다면 그것이 현실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가 심의 자정능력을 강조했던 이면에는 자신이 처한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성 제고의 문제와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인의 도덕성 각성을 촉구하는 기대와 그 가능 근거를 동시에 마련하고자 하는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cholars of the school of Ho, Yun Bong-Gu included, brought out the difference and distinction among individuals into relief by attaching great importance to and giving emphasis to the material force through emphasizing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things in the nature, existence of the physical nature in the unaroused mind, and distinction of the mind of sages and ordinary people. This standpoint of the school of Ho contained the real intention improving the morality suitable for the moral justification and establishing the international awareness by making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superior man and mean man, and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n this paper, I certified that Yun Bong-Gu stressed the difference and distinction through his theory of mind. He emphasized 'the mind is alike material force' by paying attention to the part of the latter on the former. Because there are the purity and impurity in the material force, there is the necessary difference between the mind of sages and ordinary people consisting of the different material force. Yun Bong-Gu thought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on the spirit of material force and on the perception which is ability of the mind because he regarded the human mind as having relation to the physical nature. In other words, he stressed the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which exists essentially. He thought of, however, physical nature in the unaroused mind as the sameness regardless of sages or ordinary people. Although it is impossible for ordinary people to maintain the same situation to sages, it is possible theoretically. There is no an activity of the material force in the unaroused mind. Though there is the physical nature necessarily in the unaroused mind because of the participation of the mind, there is no chance for an evil to exist. It is different from Han Won-Jins ideas that it is possible for virtue and vice both to exist in the physical nature when the mind has not arisen.
    Yun Bong-Gu showed the vitality of the mind. Anyone regardless of a sage or ordinary person has it generally. As long as anyone wants to change his physical nature, he is able to do it. Consequently, more important reasons for him to emphasize 'the vitality of the mind' is both to stimulate most people to be conscious of their morality required in their society and to set up the basis for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