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신라 출범기의 봉성사와 망덕사 창건목적 (The Purposes of Building Bong-Seong-Sa and Mang-Deok-Sa at the Launch of Unified Silla)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1.02
40P 미리보기
통일신라 출범기의 봉성사와 망덕사 창건목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37호 / 51 ~ 90페이지
    · 저자명 : 장활식

    초록

    신라는 670년부터 676년까지 당과 전쟁을 치룬 끝에 삼국통일을 달성했다. 통일신라는 새로운 시대로의 출범에 때맞춰 679년에 사천왕사, 682년에 감은사, 685년 3월에 봉성사, 685년 4월에 망덕사를 연이어 완성했다. 통일신라가 첫걸음을 내딛으면서 대규모의 국찰을 4개씩이나 완성했던 것이다.
    사천왕사는 삼국통일을 기념한 호국사찰로 볼 수 있고, 감은사는 호국사찰로 착공되었으나 문무왕의 원찰로 완공된 사찰이다. 봉성사는 신문왕을 괴롭히던 원귀를 위한 사찰이며, 망덕사는 사천왕사를 숨기기 위한 사찰이라고 한다. 사천왕사와 감은사가 통일신라 초기에 반드시 건립되어야 했던 사찰이라면, 봉성사와 망덕사는 건립목적이 의심스러운 사찰이다. 성전사원인 봉성사에서 원귀를 奉聖했다고 보기 어렵고, 사천왕사를 숨기기 위한 망덕사가 나당전쟁이 종료된 지 약 10년이나 지나서 완성된 점도 의문이다. 또한 이처럼 상호 무관해 보이는 봉성사와 망덕사가 불과 1개월의 차이를 두고 차례로 완성된 것을 우연으로 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봉성사와 망덕사의 본원적 성격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봉성사는 김유신의 원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봉성사가 신라의 성전사원이었던 이유, 문헌과 금석문에서 信忠奉聖寺와 奉聖神忠寺로 나타나는 이유, 봉성사가 신라의 위기를 예견했던 이유, 봉성사가 거대한 사찰이 된 이유, 봉성사에 절원당이 세워진 이유를 제시했다. 한편 망덕사의 본원적 성격은 놀랍게도 태종무열왕의 원찰로 나타났다. 그러나 망덕사의 13층 목탑들이 서로 싸우는 현상이 발생했고, 이는 신라 中代 왕실의 안녕이 흔들림으로 해석되어, 결국 원찰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고 본다. 그리하여 성덕왕 6년(707)에 태종무열왕의 새로운 원찰로 봉덕사가 건립되었다. 망덕사 목탑은 경덕왕 14년(755) 봄에도 흔들렸는데, 그 해 겨울에 당에서는 安祿山의 난이 발생했다. 그 이후로 망덕사는 唐皇室의 안녕을 예견하는 사찰로 부회되었을 것이다. 혜공왕 4년(768)에 신라를 다녀간 歸崇敬을 수행했던 顧愔은 망덕사가 당황실의 안녕을 예견하는 사찰이라는 당시의 인식을 『新羅國記』에 기록했고, 그 내용에 『삼국사기』에 인용되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영어초록

    Bong-Sung-Sa(奉聖寺) has a tale that King Sinmun tried to lay a revengeful spirit of ShinChung(信忠) to rest by building the temple in 685. However, the real reason for building the temple was to honor General Kim YuShin(金庾信) who l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Mang-Deok-Sa(望德寺) built in the same year has a tale that it intended to hide Sa-Cheon-Wang-Sa(四天王寺) from a Chinese envoy.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the temple later become a place where Silla people wished for long life of Chinese Emperors. The story, however, is seriously distorted.
    The true purpose of the temple was to pay tribune to King Muyeol, or Taijong of Silla(太宗武烈王). Unfortunately, Mang-Deok-Sa had a fatal problem with the two skyrocketed wooden pagodas. The thirteen-story pagodas shook violently for days, making people believe that the twin pagodas were fighting each other. Thus, Silla had to abandon the temple and make the true meaning of the temple secret. Later, people started to relate the shaking of the pagodas with the unstable political states in China. Thus, a story was formed that the temple is related to the Chinese Emperors, not to the Taijong of Silla. Such an embroidered story was spreaded to China and recorded in history books. Bong-Deok-Sa(奉德寺) built in 707 was the new temple to replace Mang-Deok-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