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圭峯宗密의 知思想 硏究 (Guifeng Zongmi’s Concept of ‘Chi(知)’)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8.08
28P 미리보기
圭峯宗密의 知思想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51호 / 257 ~ 284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숙

    초록

    唐 중기에 활약한 圭峯宗密(780-841)은 華嚴敎學과 中國思想 그리고 禪思想에 두루 정통했다. 선사상에서는 특히 荷澤宗의 宣揚에 크게 공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종밀의 하택종 선양에 핵심적 역할을 한 知思想을 살펴보았다. 먼저 종밀의 知사상의 근간이 되었던 荷澤神會와 淸凉澄觀의 知사상을 살펴보고, 종밀의 知사상에서는 ‘知’의 역사적·교학적 근거와 知의 작용성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종밀은 知를 최초로 전한 사람은 달마이며 달마가 知를 직접적으로 말하지는 않았지만, 달마에서 혜능까지 6代는 黙契로 전해졌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신회의 대에 이르러서는 여러 종파들이 경쟁적으로 전파하여 혼돈스러워짐에 달마로부터 以心傳心으로 黙傳해오던 달마종의 종지가 멸절될까 두려워 ‘知라는 한 글자’를 현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하며 하택종의 역사적 정통성을 세우고 있다.
    또 종밀은 『起信論』의 體用구도를 의지하여 자신의 고유한 철학사상인 ‘知’사상의 교학적 근거를 세운다. 이러한 知는 本體論적 의미와 함께 능동적 활동성이 가능하여, 앎·봄·비춤·밝음 등의 작용성이 있다.
    이 知의 설정에 의해 종밀의 중심 禪사상인 선교일치론과 홍주종비판과 돈오점수론이 가능하게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Guifeng Zongmi(圭峯宗密 780-841), who had been active in the middle period of Tang(唐) Dynasty, was thoroughly well acquainted with Huayan school(華嚴敎學), Chinese Thought(中國思想), and Chan Thought(禪思想). Among them, he greatly contributed to enhance in the Heze Chan School(荷澤宗).
    This study examined Chi Thought(知思想) of Zongmi, which played a core role in enhance of Heze Chan lineage. First of all, Chi(知) thought of Heze Shenhui(荷澤神會) and Chengguan(淸凉澄觀) are examined, which had become the root of Chi(知) thought of Zongmi.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basis in the ‘Chi(知)’ of Zongmi, and activity and role in Chi are also examined.
    Zongmi said that a person who transmitted Chi(知) for the first time is Dharma(達磨), and it had been inherited implicitly for six generations from Dharma(達磨) to Huineng(慧能). However, during Shenhui's era(神會代), several sects transmitted it competitively. It was worried whether Dharma lineage might be disappeared due to this kind of situation. So it was inevitable for Zongmi to establish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the Heze Chan School(荷澤宗) through Chi Thought(知思想).
    Also, Zongmi(宗密) sets up the doctrinal basis in ‘Chi(知)’ thought, which is his distinct philosophical thought based on the Ti-yong(體用 essence-function) theory of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大乘起信論). As Chi(知) has positive side of activity along with the significance of ontology, it has the function of ‘knowing’, ‘seeing’, ‘illuminating’, and ‘brightening’.
    By the establishment of this Chi(知) thought, the unity of Chan and doctrine(禪敎一致), the criticism on Hongzhu school(洪州宗),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頓悟漸修論), which are the central Seon Thought(禪思想) in Zongmi(宗密) have been examined in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