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령전 正祖 御眞의 移奉 내력 (A History of the Relocation of Hwaryeong-Jeon(華寧殿)’s King Jeongjo’s Portrai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33P 미리보기
화령전 正祖 御眞의 移奉 내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7호 / 223 ~ 255페이지
    · 저자명 : 윤진영

    초록

    이 논문은 華寧殿에 봉안되었던 正祖御眞의 移奉 내력을 확인 가능한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지금 수원 行宮의 화령전에는 있어야 할 정조어진은 전하지 않고, 2003년에 제작한 정조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본고에서는 정조의 40세 어진이 제작되어 화령전에 봉안된 경위와 화령전을 떠난 뒤의 이봉 내력, 그리고 정조어진이 최종적으로 역사에서 사라진 사실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1792년(정조 16) 정조는 자신의 군복본 어진 소본을 顯隆園의 齋殿에 봉안하게 하였다. 정조의 사후 이 어진은 화성 행궁의 維與宅으로 이봉되었고, 상시적인 봉안처에 대한 논의 끝에 화령전이 건립되었다. 1800년(순조 즉위) 12월, 화령전의 건립을 앞두고 순조는 화성 행궁으로 정조어진 대본 1점을 내려 보냈다. 이때 내려 보낸 어진은 1791년(정조 15)에 그린 뒤 書香閣에 보존되었던 군복본이고, 이후 화령전에 봉안되었던 정조어진임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1791년에 그린 정조의 40세 어진은 기존에 알려진 강사포본 대소본 2점, 군복본 소본 1점 등 3점이 아니라 군복본 대본 1점을 더 추가한 4점을 제작한 것이 된다.
    화령전에 봉안된 정조어진 대․소본 2점은 1908년 국가제사제도와 관련하여 慶運宮 璿源殿으로 이봉되었고, 1921년에는 창덕궁의 新璿源殿으로 옮겨졌다. 이후 6.25전쟁 때 안전을 위해 부산으로 이송하였으나 1954년 12월의 화재로 인해 정조어진을 포함한 대부분의 어진이 망실을 면치 못했다.
    현재의 화령전에 걸려 있는 정조의 초상화는 이러한 전래 내력의 연장선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정조의 어진 제작 당시의 화법과 복식 등의 고증은 매우 중요한 재현의 요건이다. 수원 행궁 옆에 자리 잡은 화령전의 위상은 정조어진에 대한 실상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를 검증된 표준영정으로 제작할 때 그 역사적 의미를 깊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manuscript is focused on the record which can identify the history of King Jeong-jo’s portrait which was enshrined at Hwaryeong-Jeon. In temporary palace of Hwaryeong-Jeon which is in Su-won, there is a portrait painted in 2003 instead of the original King Jeong-jo’s portrait. This manuscript tried to positively review the reasons why King Jeong-jo’s portrait at age 40s’ had produced and enshrined at Hwaryeong-Jeon, moving history after leaving the Hwaryeong-Jeon and the problems of current portraits.
    In 1792(King Jeong-jo 16), King Jeong-jo enshrined his small size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in Hyeollyungwon’s religious service. After King Jeong-jo’s death, this portrait had moved to Su-won temporary palace’s Yuyeotaek and after the continuous discussion of the place to move, the Hwaryeong-Jeon was built. In 1800(King Sunjo entrance to the throne) December, before the construction of Hwaryeong-Jeon, King Sunjo sent the large size portrait of King Jeong-jo to Hwaseong temporary palace. This portrait was painted in 1797(King Jeong-jo 15) and was finally preserved at Seohyanggak. I supposed this portrait as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and confirm that it was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from the records of 1874(Emperor Gojong 11). In this case, there are total 4 paintings of King Jeong-jo at age 40s drawn in 1797, each of large and small size portrait in red silk and each of large and small size of a portrait in military uniform.
    Current portrait of King Jeong-jo hanging in Hwaryeong-Jeon is necessary to find the meaning of this ancestral extension line. Historical research of drawing technique and costume at the time of King Jeong-jo’s portrait production is very important regeneration requirement. The position and the meaning of the Hwaryeong-Jeon located in Suwon temporary palace can be deeply illuminated when we know the truth about King Jeong-jo’s portrait correctly and when efforts are made to restore contin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