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은사 역사문화콘텐츠 기획 및 활용 방안 (Planning and Utilization for the Historic and Cultural Content of the Bongeunsa(奉恩寺))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8.12
33P 미리보기
봉은사 역사문화콘텐츠 기획 및 활용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종교문화연구 / 31호 / 127 ~ 159페이지
    · 저자명 : 이재수

    초록

    본 논의는 한국불교의 봉은사와 호국불교 관련 인물들과 사건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호국불교는 한국불교를 이해하는 한 축이며, 봉은사(奉恩寺)는 조선시대 선종의 수사찰로 불교중흥의 터전이다. 보우가 이곳에서 선종 승과를 열었고, 휴정이 첫 번째로 급제하고, 유정도 급제하여 각각 봉은사 주지를 맡았다. 이들은 임진왜란 때 승병으로 나라를 지켰다. 논자는 봉은사를 호국불교의 성지로 이끌어낸 보우, 서산, 사명의 업적을 조명하고 그와 관련한 다양한 자료들을 근거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한국불교의 역사적인 사건과 인물들의 활동했던 공간에 담긴 가치를 호국불교의 도량과 문화교류의 중심지 및 중생구제의 터전이라는 관점에 주목하였다. 역사문화콘텐츠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한국 종교문화의 한 단면을 봉은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봉은사는 보우, 서산, 사명과 같은 고승, 특히 희생과 헌신을 통해 도량과 법계를 지키려했던 호국정신의 실천과 자비심을 간직한 곳이다. 봉은사와 호국불교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한국 종교문화의 이해와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have contemplation over the ways to develop and utilize cultural content based on the Bongeunsa(奉恩寺) of Korean Buddhism and the figures and events related to Buddhism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While Buddhism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is an axis of understanding Korean Buddhism, the Bongeunsa was the principal Buddhist temple of Seonjong(禪宗) in Joseon and the base of Buddhist revival where Bowoo(普雨, 1509~1565) was active. The Seunggwa(僧科) of Seonjong took place here by him. Hyujeong(休靜, 1520~1604) passed the exam first and was followed by Yujeong(惟政, 1544~1610). They each served as a chief priest of the temple and protected the country as monk soldiers during Imjinwaeran(壬辰倭亂).
    The investigator shed light onto the achievements of Bowoo(普雨), Seosan(西山), and Samyeong(四溟) that made the Bongeunsa as the shrine of Buddhism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and proposed ways to develop and utilize cultural content based on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them. The study further focused on the values of places where historic events took place and historic figures were ac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generosity of Buddhism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central point of cultural exchanges, and ground for the salvation of people.
    The study examined an aspect of religious culture in the nation through the Bongeunsa by making active use of historic and cultural content. The Bongeunsa holds the practice and mercy of patriotic spirit to guard the generosity and Dharmadhatu(法界) of Buddhism through high priests including Bowoo, Seosan, and Samyeong and their sacrifice and devotion. The historic and cultural content of the temple and Buddhism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will provide clue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and promotion of religious culture in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