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맞춤형 챗봇 디자인을 위한 성격(Personality) 중심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Based on Personality of Customized Chatbot Desig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9.03
18P 미리보기
맞춤형 챗봇 디자인을 위한 성격(Personality) 중심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 18권 / 1호 / 77 ~ 94페이지
    · 저자명 : 유한나, 이지현

    초록

    연구배경 : 최근 뛰어난 사용성과 편리성을 가진 챗봇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점차 챗봇을 성격(Personality)을 가진 하나의 인격체로서 인식하고 있으며, 챗봇의 성격은 사람과 더욱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챗봇의 성격은 대화의 톤과 어조뿐 아니라 제공되는 정보와 형태를 결정하며, 성격에 따라 사용자의 인식과 대응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서비스와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일관된 성격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로 챗봇의 성격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그에 맞는 인터랙션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미비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및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인터랙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챗봇의 성격 유형 분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외향적인 행동 기준을 바탕으로 인터랙션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DISC모델을 활용하여 프레임워크의 틀을 제작하고, 성격 분류 기준을 챗봇의 특성에 맞게 태스크 성격과 정보 제공 방식으로 변환하여 총 9가지의 성격 유형을 도출한다. 그리고 각 성격에 맞는 챗봇의 인터랙션 요소를 중심으로 인터랙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맞춤형 챗봇 디자인을 위한 성격 중심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개발된 프레임워크의 활용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프레임워크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여 UI를 제작함으로써 복수의 성격을 가진 맞춤형 챗봇을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평가를 통해 성격에 따른 인터랙션의 적합성과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연구결과 : 검증결과 본 연구에서 제작된 프레임워크가 실제 챗봇을 개발하는 데 있어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복수의 성격을 가진 챗봇을 쉽게 설계할 수 있으며, 기존의 한계를 벗어난 새로운 인터랙션을 제안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마이크로인터랙션과 같은 섬세한 인터랙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므로 향후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워크의 보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 성격 중심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디자이너는 서비스의 목적과 사용자의 요구(Needs)에 맞는 챗봇의 성격을 선정하고, 성격에 적합한 챗봇의 인터랙션을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복수의 성격을 챗봇에 적용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성격을 가진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와 챗봇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성격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인터랙션을 통해 각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서비스의 범용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Background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hatbot with excellent usability and convenience. Users perceive chatbot as a person with personality that helps people to interact more naturally. The personality of chatbot determines not only the tone and manner of conversation but also the information and form, and it is important to give a consistency suitable for characteristics of service and user because user's perception and response are different according to personality. However, there is not much studies that is clear criteria for chatbots and interaction design suitable for personality.
    Methods :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e new personality types classification framework of chatbot focusing on overall interac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The framework is based on DISC model that can apply interaction effectively by extroverted behavioral standard, so 9 kinds of personality types are derived by converting standards to personality of task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based on the interaction elements of chatbot, it developed the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based on the personality for the customized chatbot design that is derived the interaction design guidelines and principles. The UI is created by applying the actual service as a customized chatbot with multiple personality types. Finally, the validity of the framework and the suitability of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personality were verified through the expert evaluation.
    Result :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framework created in this study has high value in developing chatbot. It could easily design chatbot with multiple personality and would be useful to suggest new interactions. However, it has received a low rating for delicate interactions such as microinteractions. So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in the future.
    Conclusion : As a result,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focused on personality of customized chatbot design will make designer easy to design a chatbot systematically by selecting the personality of chatbo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service and user's needs. 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chatbot service having the most suitable personality by developing multiple personality types that meet the various needs of user. This will make users and chatbots to build intimate relationships, and deliver information to users through appropriate interactions to person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