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봄- (Tendencies in the Sale and Distribution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related advertisements and articles published in newspapers-)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9.12
49P 미리보기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4호 / 441 ~ 489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혜

    초록

    이 연구는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거시적 목표를 안고, 먼저 하나의 노둣돌을 놓는 차원에서 또 논점을 예각화하기 위해, 당시 신문 광고와 기사에 나타난 매매와 유통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에 발간된 신문 자료를 통해 실증적이며, 다층적인 고찰을 하였다. 이런 연구방법을 택한 것은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에 관한 정리된 문헌이 없고, 또 신문이 당시의 실상을 그대로 전하기도 하여 실증적 자료로서 유효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현재 한국의 미술시장은 성업 중이다. 미술품을 사고파는 일은 시장에 가서 생활용품을 사듯이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가볍게 할 수 있는 일상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이러한 미술시장은 20세기 초, 이른바 근대에 이르러서야 형성되기 시작했다. 사실 미술품이 일반 백성들과 교접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말이 되어서야 가능했다. 그 이전은 흔히 ‘문인화’로 명명되며 그야말로 글을 하는 선비의 餘技에 불과했거나, 아니면 궁중의 儀軌를 위한 기능에 머물렀다. 이런 한국 서화의 존재와 유통 방식은 20세기 초가 되면 중세의 방식에서 근대의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다양한 방식의 매매가 시험되고 이루어진다.
    20세기 초, 한국 서화의 매매와 유통 양상을 당시 신문 광고와 기사를 통해 고찰한 본 연구 결과, 20세기 초는 다양한 방식의 서화 매매와 유통이 이루어졌다. 직접적인 방식으로는, 첫째, 지물포와 전문 서화관을 통해 서화가 매매되고 유통되었다. 이는 신문광고와 우편인환 방식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 주문에 의한 작품제작도 이루어졌다. 둘째, 전람회와 휘호회의 방식으로 서화가와 구매자가 참여한 가운데 즉석에서 작품이 제작되고 판매되었다. 이 또한 서화가가 지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전국적으로 유통되고 매매되었다. 간접적인 방식으로는, 첫째, 신문에 서화 작품을 게재하거나 서화 담론을 연재하여 대중에게 서화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킴으로써 서화 매매와 유통이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둘째, 서화연구회와 서화강습소를 개설하여 대중이 직접 체험하게 하여, 서화 취미를 높임으로써 서화 매매와 유통이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셋째, 서화 관련 책을 발간하여 대중이 집에서 혼자서도 서화를 접할 수 있게 하여 서화 매매와 유통이 활성화 되도록 하였다. 넷째, 학교에 서화과목이 개설되어 서화가 일반화되고, 대중화 되어 서화 매매와 유통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물론 학교에 서화과목이 개설된 것이 서화의 매매와 유통을 위한 것은 아니지만, 학교 교과과목으로 채택된다는 것은 그만큼 대중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서화의 일반화나 매매와 유통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20세기 초에 서화의 매매와 유통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신문의 광고와 기사를 통해 이루어졌음이 밝혀졌다. 이는 서화의 상품화 과정과 시장의 형성이 20세기 초에 확실하게 이루어졌음을 천명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endencies in the sale and distribution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purpose, above all, this researcher looked through advertisements and articles about such sale and distribution that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of that time. The reason why the researcher chose to investigate such paper materials in empirical, multilateral ways is because there are few literature on the sale and distribution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because newspapers are an empirical, effectiv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social aspects that existed when the paper materials were published.
    In Korea, currently, art markets are prospering. Now in the country, anyone can easily sell or buy art works at anytime like selling or buying life commodities at markets. In Korea, art markets began to be formed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country began to be modernized. In the nation, it was impossible for the general public to meet art works until the late 19th century. Before this time, calligraphical painting was often called ‘literary painting. At that time, literally, calligraphical painting was just one of learned scholars’ leisure activities or a method of illustrating events of the court. Before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were sold and distributed in so-called medieval ways. But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such ways gave their way to a variety of modern ways.
    The advertisements and articles as reviewed here show that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were sold and distribut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paper goods stores and painting stores were played a role as a direct way of selling and distributing such calligraphical works around the country, This was closely associated with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payment based on postal money order. Meanwhile,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were sometimes customized. Next, another direct way of selling and distributing such paintings were art exhibitions and on-the-spot calligraphical painting events, where artists improvised calligraphical paintings and at the same time buyers purchased them. This way was popularly prevailed around the nation because it was directly accompanied by calligraphical painters. Meanwhile,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were sold and distributed in some direct ways as follows. First, some works of calligraphical painting and serial articles about such artistic genre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in order to increase people’s interest in calligraphical painting and ultimately promote selling and distributing works of that genre. Second, calligraphical painting research institutes and calligraphical painting instruction schools were opened to lead people directly experience such painting and accept it as one of their favorite tastes. This also aimed to promoting the selling and distribution of Korean calligraphical paintings. Third, books about calligraphical painting were published in order that people could obtain a knowledge about such painting for themselves even at home. The aim of this was same as foresaid. Fourth, finally, calligraphical painting became a curricular course of school. This contributed to popularizing such painting and further the selling and distributing of works of the gen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