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정희 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고찰 — 시집 『지리산의 봄』을 중심으로 (A Study on Ecofeminism expressed in Poet Ko Jeonghee’s Poems ― Centered on her poetry Spring in Mt. Jir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1.04
27P 미리보기
고정희 시에 나타난 에코페미니즘 고찰 — 시집 『지리산의 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20권 / 1호 / 31 ~ 57페이지
    · 저자명 : 임형진

    초록

    본 논문은 고정희 시집 『지리산의 봄』에 나타난 어머니의 삶을 통한 현실인식과, 여성의 자유와 해방을 통해 인간 평등을 추구한 작품을 에코페미니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고정희는 지리산에서 젊은 나이에 실족으로사망하기까지 다수의 시집들을 발표했다. 고정희는 여성주의적 관점에서현대시를 쓴 선구자로 잘 알려져 있는데 1986년에 발표된 제 5시집 『눈물꽃』에서부터 여성주의적인 시세계로의 전환을 볼 수 있으며, 그후 1987년에 발표된 『지리산의 봄』에서 에코페미니즘적인 관점이 잘 나타난다. 고정희의 시집 제목에 나타나는 ‘지리산’은 시인의 시적 발상의 근원지이기도하였으며 여성과 동일시되는 자연물이기도 하였다.
    『지리산의 봄』은 기독교적 내용을 다룬 초기 시와 여성주의를 다룬 후기시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1980년대 초에고정희, 최승자,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 여성주의 시가 등장하기 시작하며 이것은 한국 시사에 있어서 중요한 변환점이 되고 있다. 『지리산의 봄』 이 발간된 시기는 1987년인데 이 시집에서 고정희는 자연과 여성을 동일선상에서 보았다.
    에코페미니스트들은 자연과 여성을 연계하는 것이 성차별주의와 자연숭배의 근본 원인이라는 점에 동의한다. 여성은 지금까지 문화적으로 자연과연관되었기 때문에, 에코페미니스트들은 페미니즘적 주제와 생태학적 주제사이에 개념적・상징적・언어적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앞으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에코페미니즘과 관련된 자연과 환경에 대한 문제는 중요한문제로 부각될 것이다.
    고정희의 시에서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난 어머니는 탄생과 죽음을 주관하는 자연의 여신이기도 하며, 아버지 하느님이 아닌 어머니 하느님으로나타나고, 산이나 강의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한다. 우리 민족의 근간을 받들고 있는 어머니이기도 하다. 한편 이렇게 위대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어머니는 억압받고 고생한 여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어머니의 공통적인 모습은생명의 근원으로서의 여신처럼, 자연과 인간을 돌보고 있는 모습이다.
    고정희 시에 나타난 매 맞는 여성, 가사노동을 하며 맞벌이하는 여성 등은 불평등한 삶을 사는 인간들이다. 그들은 그러한 상황에 불안을 느끼면서자신의 현실을 인식하고 불합리한 상황을 바꾸고자 결심하고 있다. 시인의인식은 여성이 공동체적인 존재이며 개체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고정희는 시에서 강과 물의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는데 사회적 불평등을자연의 이미지와 연관시키고 있다. 할머니의 노동과 어머니의 고생을 봇물과 동일시하며 억압된 여성의 삶과 억압된 자연을 동일한 대상으로 보고 있다. 여성의 자유와 해방은 여성이 스스로 주도적으로 주체가 됨으로써 이룰수 있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타자에 의존한다면 이는 이루어질 수가 없지만 조화가 필요하다. 즉 남녀 모두가 같이 협력함으로써 여성의 자유와 해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고정희는 여성과 자연의 이미지를 연관시켜 보았으며, 가부장적인 억압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여성의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였다. 고정희는 남녀의 대립이 아닌 화합과 인간과 자연 사이의조화를 강조한다.
    본고는 고정희의 총 11개의 시집들을 바탕으로, 에코페미니즘이 가장 잘나타난 제 6시집 『지리산의 봄』을 텍스트로 하여 ‘생명의 근원인 어머니의삶’, ‘여성의 현실 인식’, ‘자연과 여성의 해방’에 관해 살펴보았다. 고정희에게 있어 시적 공간이었던 지리산은 곧 어머니인 여성과 연계된 공간이다. 여기서 자연과 여성을 동일시한 고정희의 작품들은 여성주의에서 더 나아가 에코페미니즘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고정희는 여성과 자연을 생명의 근원으로 보았으며 가부장적인 억압에대한 현실 인식과 여성과 자연물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여성의 자유와 해방을 추구하였다. 여성의 자유와 해방은 여성이 스스로 주체가 됨으로써 이룰수 있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조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자연과 인간이 서로협력하고 보살피는, 인식과 실천을 통해서 여성과 남성, 자연과 인간의 새로운 관계가 성립되며 공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explore into her awareness of reality via the mother’s life expressed in poet Ko Jeonghee’s poetry, “Spring in Mt. Jiri” and a pursuit of human equality via woman’s freedom and lib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feminism. “Spring in Mt. Jiri” shown in her poetry’s title was the poet’s source of literature and the origin of thinking. The word, ‘Mount Jiri’ was mentioned in her poetry several times and has something to do with ecofeminism. The French novelist, Fransoise d’Eaubonne first used the term ecofeminism in 1974 and it contains a feminist move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Spring in Mt. Jiri”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early poems dealing with Christianity with later poems dealing with feminism. In the early 1980s, Korean feminist poetry began to emerge around the poems of Ko Jeonghee, Choi Seungja, and Kim Hyesoon, making thi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Korean poetry. “Spring in Mt. Jiri” was published in 1987, and in this collection of poems, Ko Jeonghee saw nature and women on the same line.
    Eco-feminists agree that linking nature with women is the root caus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nature worship. Since women have so far been culturally associated with nature, ecofeminists argue that there is a conceptual, symbolic, and linguistic connection between feminist and ecological themes. In the post-Corona era, the issue of nature and the environment related to ecofeminism will become an important issue.
    Poet Ko Jeonghee is known to be a pioneer who wrote modern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view. The study on Ko Jeonghee has been persistingly continued. Most of prior studies focused on her christian point of view, feminism and populists. There are a lot of research on the poet’s viewpoint of feminism.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into Ko Jeonghee’s feminism, expecially focusing on ‘ecofeminism’ around her poetry “Spring in Mt. Jiri”.
    The mother who features so many faces in Ko Jeonghee’s poems is Dame Nature who governs birth and death, and the Mother Almighty, not Father Almighty as well. Also, the mother appeared as an image of mountain or river. The mother in the poetry is also the mother who buttresses the foundation of our people. In the meantime, the mother who came into view in a great image sometimes takes a shape of a woman who was oppressed and went through a hardship. Just like a goddess as a source of all life, the common image of mothers in the poetry is characterized by a look of taking care of nature and human.
    Appearing in Ko Jeonghee’s poetry, the battered women and the women who both do household chores and work in double harness are humans who live an inequal life. The poet feels uneasy and in such a situation and perceives her own situation, which invokes her to decide to change that unreasonable situation. The awareness of the poet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the women are not an individual existence, but a communal existence.
    Ko Jeonghee uses the image of river and water in her poems through which she attempts to connect social inequality with the image of nature. Ko equates mother’s manual work and hardships with water in the reservoir, and considers the living of the oppressed women and the oppressed nature as the same target. Women’s freedom and liberation would be possibly secured only when those women could become dominant players on their own. In the process, when and if they rely on the other, those freedom and liberation would not be achieved, and so, cooperation is required. That is to say, when both men and women cooperate each other, women’s freedom and liberation would be accomplished.
    Ko Jeonghee tried to associate the image of women with the image of nature image, and equated awareness of reality on the patriarchal oppression with a natural object, through which she pursued women’s freedom and liberation. The poet puts an emphasis on the harmony of between human and nature, not on a conflict between man and woman.
    As a result of analyzing 11 books of poetry by Ko Jeonghee, the headquarters looked at the 6th poetry book “Spring in Mt. Jiri” which best shows ecofeminism, about “Mother’s Life, the Source of Life,” “Women’s Realization,” and “Nature and Women’s Liberation.” Jirisan Mountain, which used to be a poetic space for Ko Jeonghee, is a space associated with a woman who is a mother. Here, Ko Jeonghee’s works, which equate nature with women, further demonstrate an ecofeminist view from femin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창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