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연주의에서 표현주의로 -베데킨트의 『깨어나는 봄』 (Vom Naturalismus zum Expressionismus - Frühlings Erwachen von Frank Wedekind)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09.11
22P 미리보기
자연주의에서 표현주의로 -베데킨트의 『깨어나는 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36호 / 123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충남

    초록

    본고는 자연주의 드라마와 표현주의 드라마 사이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베데킨트의 『깨어나는 봄』에 나타난 주제 및 형식상의 제 특징
    들을 고찰하면서 작가 및 이 드라마의 정확한 문학사적 위치를 확인하
    고자 한다. 특히 이 드라마에 나타난 주제의 복합성, 장면연결 기법, 희
    비극적, 초현실적 요소 등 제 특징들을 분석하면서 어떤 면에서 『깨어나는 봄』이 자연주의와 결별하고 표현주의적 색채를 띠게 되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그러나 연구의 주안점은 두 문학사조의 특징보다는 새로
    운 문학적 경향을 예고하는 본 드라마의 극작상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에 있다.
    『깨어나는 봄』에서는 자위, 최초의 성경험, 낙태, 동성애 그리고 사
    디마조히즘적 욕구 와 같은 성문제, 그리고 억압에 기초한 교육체제의
    폭로 등 복합적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다. 인간의 섹스나 학교문제는
    세기의 전환기에 집중적으로 다루어진 주제들이다. 베데킨트에 있어서
    새로운 점은 사춘기 청소년들의 성 문제와 학교문제라는 두 주제의 결
    합이다.
    이 같은 주제들을 다루는 베데킨트 텍스트의 본질적 구성요소는 유
    머이다. 유머를 통해 교사회의(3막 1장)와 마지막 장면 같은 핵심 장면
    들에서 드라마의 자연주의적 특징들이 붕괴되고 희화화된다. 유머는 『깨어나는 봄』의 어디에나 내재되어 있다. 일제의 환상적 출현을 보여주는 2막 7장이나 묘지장면(3막 7장) 에서도 유머는 초현실적 요소와 결
    합하여 다양하게 나타난다. 드라마는 이 장면들에서 자연주의와의 가
    장 현격한 차이를 보여준다. 작품에 내재한 자연주의 비극의 패러디를
    통해 베데킨트는 이 드라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고, 나아가 자신만
    의 고유한 어린이 비극을 구상한다.
    극작기법에 있어서도 베데킨트는 모든 전통적인 드라마기법을 포기
    하면서 분명히 자연주의와 경계를 긋는다. 신속한 장면전환, 끊임없는
    장소의 변경, 환상무대의 포기, 소도구 사용의 절제 등은 비극의 전통
    적 형식, 즉 닫힌 형식의 거부를 의미한다. 장소와 시간의 통일성도 없
    고 줄거리를 이끌어 가는 주요 인물들도 세 명이다. 간결한 상황묘사,
    짧은 장면들의 서사적 나열, 지나친 풍자 등에서 뷔히너 Georg
    Büchner의 영향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3막 19장이 시간적 연속성이
    없이 각자 독립된 에피소드들처럼 구성되어 있어서 전통적인 자연주의
    드라마와는 거리가 멀다.
    『깨어나는 봄』은 권위주의적이고 억압적인 학교, 이해심이 없는 부
    모, 시민들의 위선적 태도 등 전형적인 자연주의 어린이 비극의 기본
    틀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복면의 신사는 마지막 순간에 자연주의 극의
    주인공들이 맞이하는 비극적 종말을 차단함으로써 드라마의 자연주의
    적 종결을 저지한다. 뿐만 아니라 마지막 장면에서 작가는 전통적 드라
    마 기법을 완전히 깨뜨려버린다. 사실적인 것과 몽환적 요소의 결합,
    원귀로서 머리 없는 모리츠가, 그리고 비유적 인물로서 복면의 신사가
    유령처럼 등장하는 것, 과장된 언어표현 등은 표현주의 기법을 선취하
    고 있다. 이와 함께 모리츠가 자살하기 전 환상적인 일제의 출현과 같
    은 초현실적 요소, 그리고 자신이 처한 상황에 대한 절망감을 표출하는
    모리츠의 표현주의적 절규는 이 드라마가 이미 표현주의의 선구적 작
    품임을 확인해준다.

    영어초록

    In der Wedekind-Forschung wurde bereits die antinaturalistische
    Haltung des Dichters betont und sein Stellenwert als Wegbereiter
    des Expressionismus gewürdigt. Aber das Problem einer genauen
    Positionierung des Dichters und seines Dramas Frühlings Erwachen
    in der Literaturgeschichte ist noch nicht ganz gelöst.
    Die vorliegende Arbeit will an dieses Problem herantreten, indem
    sie die wichtigen Kennzeichen dieses Dramas, das an der Grenze
    zwischen Naturalismus und Expressionismus steht, analysiert. Zur
    Diskussion stehen insbesondere die Pluralität der Themen (Sexualund
    Schulproblem), die Betonung des Humors in der Tragödie, die
    antinaturalistische Dramenstruktur und die surrealistischphantastischen
    Elemente in der letzten Szene.
    Beide Themen, das Thema der menschlichen Sexualität und das
    der Schule, wurden um die Jahrhundertwende intensiv bearbeitet.
    Neu ist in Frühlings Erwachen die Verbindung beider Themen. Neu
    ist auch der Humor in der Kindertragödie. Naturalistischen Ideen ist
    der Humor fremd, während er bei Wedekind ein wesentliches
    Element in der Gestaltung der Dramenhandlung ist. Durch den
    Humor, besonders in Verbindung mit surrealen Elementen, werden
    die naturalistischen Züge des Dramas gebrochen. Dadurch
    unterscheidet sich Frühlings Erwachen am meisten vom
    Naturalismus. In diesem Sinne ist dieses Drama eine Tragikomödie,
    eine Tragödie mit grotesk-komischen Elementen.
    Wedekind entfernt sich auch in der Struktur des Dramas von der
    traditionellen Form der Tragödie und nähert sich dem
    Expressionismus. Dies zeigt sich am schnellen Szenen- und am ständigen Ortswechsel sowie am weitgehenden Verzicht auf die
    Illusionsbühne. Weder gibt es eine Einheit des Ortes noch eine der
    Zeit. Die neunzehn Szenen in drei Akten stellen kein zeitliches
    Kontinuum dar, sondern bestehen aus für sich stehenden Episoden,
    die durch bestimmte Metaphern miteinander verbunden sind. Durch
    die lockere Komposition, die satirische Überzeichnung der
    Lehrerkonferenz und die letzte Szene auf dem Friedhof mit den
    surrealen Figuren distanziert sich das Drama eindeutig von der
    naturalistischen Dramatik.
    Zahlreiche Motive und Themen der Handlung in Frühlings
    Erwachen - das autoritäre, auf Repression basierende
    Erziehungssystem, die verständnislosen Eltern sowie die
    heuchlerische Bürgermoral - sind typisch für die naturalistischen
    Kindertragödien. Aber das naturalistische, tragische Ende des Helden
    wird durch den vermummten Herrn im letzten Augenblick
    abgewendet, indem er Melchior ins Leben führt. An der Gestalt des
    vermummten Herrn ist von Bedeutung, dass er das naturalistische
    Handlungsgerüst destruiert. In der Schlussszene verzichtet Wedekind
    letztlich auf die traditionellen Mittel der dramatischen Kunst. Das
    Nebeneinander von Realistischem und Irrealem, die Vermischung
    von Surrealistischem und Traumhaft-Phantastischem, der
    geisterhafte Auftritt von Moritz als lebender Leichnam, die plötzliche
    Erscheinung des vermummten Herrn als allegorische Figur und der
    expressionistisch anmutende Aufschrei, all das weist bereits auf die
    expressionistische Dramatik vora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