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 -「봄·봄」과 『다시, 봄·봄』을 중심으로 - (Aspects of Deepening and Variation of Themes through Subsequent Writing of the Can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 -「봄·봄」과 『다시, 봄·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90권 / 405 ~ 434페이지
    · 저자명 : 박성애

    초록

    정전 이어쓰기 작업은 독자에게 원 텍스트와 함께 변주된 상상력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하게 텍스트를 경험하는 즐거움을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김유정의 「봄·봄」을 이어쓰기 한 작품들을 모아놓은 『다시, 봄·봄』에서 현재의 작가들이 어떻게 「봄·봄」의 주제를 심화하고 변주하는지 그 양상과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봄·봄」에서 작가는 견고한 중심세계에타자의 목소리를 드러내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봄·봄」에서 타자의 목소리가 드러나는 방식을 살핀 후, 『다시, 봄·봄』에서 작가들이 김유정의 작업을 이어받아 타자의 목소리를 어떠한 방법을 통해 중심세계에 드러내고 있는지 추적하였다. 김유정은 「봄·봄」에서, 주체의 세계에서 들을 수 없는 타자의 말이 어떻게 굴절되고 그늘을 남기는지를희극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타자의 목소리를 독자들에게 전달하였다. 이러한 「봄·봄」을 이어쓰기 하면서 『다시, 봄·봄』의 작가들도 시점 활용, 타자적 인물들끼리의 연대 생성, 공적언어인 글 획득 등의 방법을 통해 타자의 목소리를 작품에 드러내고자 하였다. 작가들은, 여성타자인 점순의 목소리를 직접 드러내는 1인칭 시점을 활용하거나, 작품 내에서 시점에 변화를 주며 점순의 말을 직접 인용하는 방식으로 타자의 목소리가 세계에 드러나도록만들었다. 또한 1인칭과 2인칭을 활용하여 주체와 대상의 관계가 ‘주체와 주체’의 관계로진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하기도 하였다. 더불어 타자적 인물들이 자발적, 주체적 연대를 통해 더 권위적인 목소리, 즉 중심세계에서 더 잘 들리는 목소리에 대항하도록 만들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작가들이 문자로 이루어진 언어, 즉 ‘글’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이다. ‘글’이 가진 힘을 기존 질서를 전복하는 방식으로 활용하면서 글을배워가는 과정을 통해 인물들이 주체적 관계를 경험하도록 만들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김유정에서 시작된 타자의 목소리 듣기와 타자의 목소리로 말하기는 현재적 시점에서 다시 구현되었다.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그것을 주체의 언어로 중심 세계에 드러냄으로써 작가들은 타자와 주체 사이, 매개자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다고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he way that the voice of the Other is revealed in Kim Yujeong’s “Spring, Spring, ” and in “Again, Spring, Spring” written by seven writers as a sequels to “Spring, Spring”. In “Spring, Spring, ” Kim Yujeong delivers the voice of the Other to the readers by comically showing how the Other’s words are refracted and leave a residue. The writers of “Again, Spring, Spring” reveal the voice of the Others in their works by using a point of view, creating solidarity between the characters, and acquiring the public language, ‘writing.’ The writers reveal Jeomsun’s voice by using first-person narrative or direct quotation in their texts. They also try to comb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subject by using the first-and second-person narrative. Additionally, they make characters oppose the authoritative voice of the subject’s character through voluntary and subjective solidarity. Using the power of ‘writing’ in a way that subverts the existing order, they make the characters experience subjective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to write. Through the above methods, listening to the Other’s voice and speaking with the Other’s voice, which began with Kim Yujeong, are re-implemented. Thus, the writers are playing the role of mediators between the Other and the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3 오후